美 "김정일 발언 상관없이 징벌 이행해야"
2006-10-23 편집국
| 라이스 "김정일위원장, 핵실험 관련 유감표명 보도 믿기 어렵다"…北-美 대치 지속 |
북한이 중국측에 추가 핵실험 유예 가능성 입장을 전달했지만 미국과 국제사회는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반드시 징벌을 가해야 한다는 입장이어서 북미간 대치는 지리하게 계속될 전망이다."미국이 우리를 괴롭히지 않으면 핵실험을 할 이유가 없다. 6자회담에 복귀하면 금융제재를 해제하라." 탕자쉬안 중국 특사 방북 이후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발언들이 전해지고 있지만 미국과 한국정부 등 국제사회의 반응은 차분한 기조이다. 특히 미국의 입장은 탕자쉬안의 방북 이전과 이후 별다른 차이가 없다. 라이스 미 국무부 장관은 "김정일 위원장이 탕 국무위원에게 핵실험과 관련해 유감을 표명했다는 보도를 믿기 어렵다"며 북한의 조건없는 6자회담 복귀를 다시 강조했다. 정부 당국자는 "대화노력도 중요하지만 미국과 국제사회 입장은 유엔 안보리 결의안에 따른 제재조치는 반드시 이행돼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즉, 북한이 핵실험을 함으로써 국제평화에 긴장을 조성했기 때문에 "그에 따른 죄값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다른 정부 소식통은 "북한의 핵실험에 대한 제재조치가 반드시 이행돼야 북한이 추가로 상황을 악화시키는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것이라는 게 공통된 시각"이라고 밝혔다. 이에따라 6자회담을 재재시키기 위한 중국 등 관련국들의 노력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향후 전망을 예단하기는 어렵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
북한이 중국측에 추가 핵실험 유예 가능성 입장을 전달했지만 미국과 국제사회는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반드시 징벌을 가해야 한다는 입장이어서 북미간 대치는 지리하게 계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