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빈곤층 특별전형' 검토
2006-10-26 편집국
| 3년간 2000여명 신입생 중 '사회계층 하위 20%' 50여명 불과…서울대측 "교육기회 편중 해소할 것" |
서울대가 부유층에 교육기회가 편중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오는 2009년도 입시부터 빈곤층
학생들을 위한 별도의 선발전형을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최근 3년동안 서울대에 입학한 학생 가운데 사회계층의 하위 20%에 속하는 빈곤층은 전체 신입생 2000여명의 2%수준인 50여명 선이다. 반면 상류층과 중류층 학생은 1700여명으로 전체의 약 80%에 이른다. 이처럼 소득에 따라 교육기회도 대물림되는 잘못된 현상을 치유하기 위해 서울대가 칼을 빼들었다. 가칭 '계층균형선발 제도'가 그것이다. 이 제도는 사회계층의 하위 20%에 속하는 빈곤층 학생들을 대상으로 별도의 전형 절차를 치르게 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 선발방식에서는 학교장이 학교마다 정해진 수의 학생을 추천하는 '지역균형선발제도'와 유사하고 선발 인원은 서울대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일부 특별전형 수준인 것으로 CBS취재 결과 확인됐다. 이 같은 방안은 학생처, 기획실 등 대학본부 고위 보직 교수들 사이에서 논의된 뒤 최근 서울대 이장무 총장에게도 보고됐다. 이르면 오는 2009학년도 입시부터 실시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 이정재 학생처장은 "부모의 계층에 따른 교육기회의 편중이라는 왜곡된 현상을 바로잡아 한국사회의 균형적인 발전을 이루는 것이 서울대의 사회적 책무라는 인식이 서울대 고위 관계자들 사이에서 공감대로 형성돼 있다"며 이 제도 추진의 배경을 설명했다. 이와함께 이미 시행되고 있는 '지역균형선발제도'가 소외계층의 학생들에게 별다른 혜택을 주지 못하고 있는 문제도 이 같은 보완책을 검토하게 된 또 다른 배경인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지역균형선발제도'는 소년소녀 가장에게 일정 부분의 가점을 주도록 하고 있지만 2005학년도 입시에서 시행된 이래 소년소녀 가장은 단 한명도 서울대에 입학하지 못했다. 이를 위해 서울대 측은 앞으로 별도의 연구팀을 꾸려 선발 사정 기준을 위한 계층 지수 작업 등의 연구를 시작하고 추후 이 제도를 통해 선발되는 학생들에게는 입학 전 별도의 교육을 시키는 방안도 검토할 방침이다. 또 '서울대 지역 네트워크 사업' 등과 연계해 이들에게 장학금과 생활비 등을 지원하는 방안도 적극 고려하고 있다. 서울대는 이와 함께 이 제도로 입학한 학생과 소외계층 고등학생을 '멘토링'제도 등으로 연결시켜 장기적으로도 빈곤층 학생들의 교육 기회를 확산시킨다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 |
서울대가 부유층에 교육기회가 편중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오는 2009년도 입시부터 빈곤층
학생들을 위한 별도의 선발전형을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