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교생 학교폭력 피해 감소, 초등 증가
세종시교육청, 「2016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 발표
2016-07-20 최형순 기자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교육감 최교진, 이하 세종시교육청)은 전국 17개 시・도교육감이 공동으로 한국교육개발원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 위탁해 온라인으로 실시한 학교폭력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관내 초4~고3 학생 2만 2119명을 대상으로 지난 3월 21일부터 4월 29일까지 실시됐으며 조사대상 학생의 96.0%인 2만 1228명이 조사에 참여했다.
‘학교폭력 피해를 당한 적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243명(참여 학생의 1.2%)으로 전입생의 꾸준한 증가에도 학교폭력 피해응답률은 지난해와 비교해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학교급별로 피해응답률은 초등학생 2.2%, 중학생 0.6%, 고등학생 0.5%로 초등학생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피해응답률의 경우 지난해 대비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각각 0.1%포인트, 0.3%포인트 감소한 반면 초등학생은 0.3%포인트 증가했다.
학교폭력 피해 유형(건수 기준)으로는 언어폭력(33.6%)이 가장 높았고 집단따돌림(19.8%), 신체폭행(12.2%), 스토킹(11.0%), 사이버 괴롭힘(9.6%), 금품갈취(5.8%) 순이었다. 피해 시간은 주로 쉬는 시간(39.1%)이 많았고, 하교시간 이후(12.8%), 점심시간(10.7%) 등의 순이었다.
‘학교폭력을 목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779명(3.7%)으로 지난해 대비 0.4%포인트 감소했다.
시교육청은 이에 대해 유관기관과 교육현장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사회 전반에 걸친 학교폭력 대응 안전망을 구축하고 지속적인 예방교육과 더불어 학생들의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여건을 강화한 결과가 어느 정도 반영됐다고 분석했다.
실제 최근 교육부가 발표한 2016년 시․도교육청 평가에서 ‘현장중심 학교 폭력 예방 및 근절 노력’ 평가지표를 포함하는 ‘학교폭력 및 학생위험 제로환경 조성’평가영역은 21점 만점에 19.195점을 받아 전체 시도 평균인 18.95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다.
세종시교육청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학교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맞춤형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 운영에 더욱 박차를 기할 것”이라면서, “피해응답률이 높은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발달단계에 적합한 유형별 예방교육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