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석 의원, "정부 대북정책 부정적 평가 높아"

통일부의 대북정책 관련 정기 국민 여론조사 종합보고서 단독입수

2016-09-04     김거수 기자

더불어민주당 박병석 국회의원(대전 서갑)이 통일부가 여론 조사기관인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조사한 ‘2016년 2분기 통일 및 대북정책 관련 여론’ 보고서를 입수해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결과를 보면 현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평가에서는 지난해 8월 ‘남북 고위당국자 회담’이후 처음으로 부정적 평가(46.9%)가 긍정적 평가(45.9%)를 앞질렀다.

이로 인해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에 대한 찬성’의견(65.1%p →62.1%p)은 지난 1분기보다 3.0%포인트 떨어졌으며 북한과의 교류가 중단된 상황에서, 남북간 신뢰 형성에 회의적 여론이 형성된 것으로 이 보고서는 분석했다.

그러나 남북 대화와 교류가 전면 중단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통일에 대한 관심도는 여전히 높아 79.2%에 이르렀다. 통일 필요성에 대한 응답률은 ‘60세 이상’(86.5%)이 전 연령층에서 가장 높았다. ‘19세-29세’(65.5%)와 ‘30대’(75.8%) 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통일준비의 최우선 과제로는 ‘남북관계 개선’(31.6%)과‘국민적 공감대 확산’(30.7%)를 가장 많이 꼽아 남북교류 재개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냈다. 올 1분기 조사에서는 ‘국민적 공감대 확산’을 꼽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었다.

이와 관련해 북한에 대한 인식에서도 변화를 보여 ‘지원해야하는 대상’(13.1%p → 18.8%p)이라는 응답률이 전분기에 비해 5.7% 포인트 상승한 반면 ‘적대시해야 하는 대상’(19.4%p → 16.7%p)이라고 꼽은 사람은 2,7%포인트 떨어져 대조를 보였다.

박병석 의원은 이번 국민 여론조사 결과에 대해 “국민들은 남북관계 개선을 바라고 인도적 지원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반면 강경한 대북정책으로 남북 대화 채널이 사라지고 있는 것에 우려 하고 있는 것”이라며 “북한의 핵 개발에 대한 제재는 유지하되 이와는 별도로 대화와 교류에 나서는 이른바 투 트랙 정책을 국민들은 주문하고 있다”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