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주 의원, 원예작물 로열티 '약소국가' 수준
지난 10년간 해외로 나간 원예작물 로열티 1,457억
이 중 10년간 누적액수로는 ▲장미 440억 ▲버섯 379억 ▲난 224억 순으로 로열티가 지급됐다.
반면, 2015년까지 우리나라가 벌어들인 로열티는 9.5억원으로 로열티 지급액 대비 0.7%에 불과했다. 이 중 장미(9억 4,800만원)를 제외하고는 로열티 수취실적이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박완주 의원실에서 농촌진흥청에서 받은 자료로 재구성한 <최근 10년간(2006~2015년) 로열티 지급액 Vs 투입 산출>을 살펴보면, 2010년 로열티 대응 기술개발의 결과물로서 로열티 수취액이 발생하기 시작했고 이에 따라 로열티 적자액이 차츰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자상황은 계속 유지되고 있어 종자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나아갈 전망은 어두운 상황이다.
한편 농진청은 로열티대응기술개발 사업이 개발초기 단계에서 품종실용화 단계에 이르기까지 10여년의 시간이 필요해 장기적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며, 화훼류는 종류에 따라 수요가 다양한 점이 고려되어야한다고 해명했다.
박완주 의원은 “농촌진흥청의 원예작물로열티대응기술개발 사업의 가시적인 성과가 딸기에만 국한되어 있는 상황”이라며 “종자 주권 회복을 위해 원예작물로열티대응기술사업의 내실을 다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