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용일 충남도의원, "충남도 구제역과 AI로 몸살"
올해 충남에서만 19건의 구제역 발생…최대 축산단지 보유한 충남 멍에
충남도의회 강용일 의원(부여2)이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AI) 방역 체제에 대한 근본적이고 체계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매년 구제역과 AI 등 가축 전염병으로 막대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강 의원은 28일 열린 제292회 정례회 3차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올해 충남에서만 19건의 구제역이 발생했다”며 “전국 21건 가운데 90.4%에 달하는 수치로, 최대 축산단지를 보유한 청정 충남에 멍에를 안겼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에 따르면 2012년부터 현재까지 도내에서 총 89건의 구제역이 발생, 소와 돼지 등 가축 5만2913마리를 살처분했다. 이에 따른 처리비용만 243억이 투입된 것으로 추정됐다.
강 의원은 “이 예산을 어려운 도민을 위해 지원했더라면 하는 생각을 했다”며 “도의 구제역 발생은 연례행사처럼 따라다니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방역 대책기간을 상시로 전환할 것을 촉구한다”며 “바이러스가 축사 바닥과 기둥, 옷 등 모든 곳에 존재하는 만큼 철저한 방역 체제와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구제역 백신접종의 가장 큰 문제는 농가의 부적합한 접종 자세”라며 “심지어 수의사 대신 인부나 외국인 근로자가 직접 접종을 하고 있는 축산농가도 있다”고 우려했다.
강 의원은 “충북도의 경우 도내 사육하는 돼지 50만두에 대해 긴급예방접종을 11월까지 완료하기로 했다”며 “백신접종 완료 후 12월에는 백신이 제대로 접종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저조한 농가는 과태료 처분을 내리는 등 집중 관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구제역과 AI 종식을 위해 민관이 협동으로 모든 열정을 쏟고 있다”며 “도는 어떠한 의지가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모든 수단을 동원해 구제역과 AI를 종식시킬 수 있도록 매진해 달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