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서구 을 보궐선거 향방 탄핵 민심 변수

열린당 후보 출마 여부에 따라 당락..

2006-12-29     김거수 기자

내년 4월25일에 치러지는 대전 서구 을 보궐선거가 정치권의 ‘태풍의 눈’으로 부상하고 있다. 연말 대통령 선거의 전초전 성격이 짙은데다 정계개편과 맞물려 최고의 정치 이벤트로 각인되고 있는 것이다.

이번 보궐선거는 주지하다시피 열린우리당 구논회 의원의 유고로 인한 선거다. 여․야는 그동안 보궐선거 얘기를 가급적 자제해왔다. 구논회 의원이 별세한지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선거를 들먹거린다는 자체가 도의적으로 옳지 않다는 판단에서였다.

그러나 물밑 움직임은 어느 때보다 치열했다. 이달 중순에 들어서자 정당마다 본격적인 선거체제에 돌입하는 양상이다. 사무실을 준비하고 조직을 꾸리는 등 행보가 눈에 띄게 달라졌다.

우물쭈물하다가는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절박감에서다. 그 만큼 서구 을 보궐선거는 어느 당을 막론하고 내줄 수 없는 한판 승부의 장으로 여기고 있다. 어쩌면 이곳의 선거결과에 따라 정치 지형이 바뀔지도 모른다.

 내년 4월이면 각 정당이 대통령 선거 체제를 갖추고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갈 때이다. 이즈음의 보궐선거 승리가 정당에 가져다주는 효과는 계량하기 힘들 것이다. 중간 평가의 성격도 짙다고 하겠다.

승리한 정당은 국회의원 1석을 추가함과 동시에 여세를 몰아 대선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려 들 것이다. 반대로 패배한 정당은 큰 상처를 입을 수 있다. 물론 무소속 당선자가 나올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다.

정당들이 이번 보궐선거에 공을 들이는 데는 또 다른 이유가 있다. 충청권은 대통령 선거 때 마다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하고 있다.

대권을 잡으려면 충청권을 어우르지 않으면 안 된다. 충청권을 교두보로 삼아 지지세를 확산시켜야 한다는 절대 절명의 명제가 놓여있는 것이다. 사활을 건 승부가 불가피한 대목이다.

 열린우리당은 서구 을 지역이 자당 소속 의원의 지역구였다는 점에서 기어코 사수하려 들 것이다. 하지만 낮은 지지율을 어떻게 극복할지가 관건이다.

한나라당은 실지회복에 나섰다. 전통적으로 이곳은 한나라당 강세지역이다.  분위기도 꽤 좋다. 구의원과 시의원들이 포진한 것도 큰 원군이다. 복병은 국민중심당이다.

심대평 공동대표(전 충남지사)는 일찌감치 출마를 확정지었다. 창당 4개월 만에 치러진 5.31지방선거에서 무참히 패배한 그로서는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다며 전의를 다지고 있다. 당의 운명이 보궐선거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에 맞설 후보들의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열린우리당은 박범계 변호사가 출마의 뜻을 밝혔다.

대전시장 선거에서 1만여 표 차이로 분패한 염홍철 중소기업특위위원장(전 대전시장)의 출마 여부도 관심거리다.

한나라당은 2선 관록의 이재선 전 국회의원이 탄핵열풍으로 빼앗긴 금배지를 되찾아오겠다며 잔뜩 벼르고 있다.

이렇듯 서구 을 보궐선거는 ‘별들의 전쟁’이라는 말이 나돌 만큼 중량감이 대단한 인사들이 포진해 있다. 민노당과 민주당, 무소속 후보들의 대반격도 예상된다.

시민들의 정치 무관심과는 달리 보궐선거의 막은 이미 올랐다. 대선의 길목에서 치러지는 이번 선거가 정국의 흐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자못 궁금한 대목이다. 정치권이 서구 을 보궐선거를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