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살펴보는 2007충남교육
2007 충남교육 주요 정책을 한눈에 살펴본다.
학생 잠재력 계발 교육
△ 기초·기본학력 책임지도=학습부진학생 Zero운동 추진 및 지도교사 우대, 진단평가 결과 개별 통지, 초
15개교, 중 15개교의 기초학력 증진 자율 시범학교를 운영한다.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중등은 대입정보기획단을 운영하고 ‘우리학교
학력증진공모제’를 확대한다. 초등은 ‘맞춤지도 학력 쑥쑥’프로그램 아래 수업혁신 학력완성지원단을 운영한다.
△방과후학교 운영의
내실화=200개교에서 방과후 보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선택형 교과프로그램, 평생교육 프로그램 등과 ‘찾아가는 방과후학교 컨설팅팀’을
운영한다.
△독서·논술교육 강화= 500명에게 통합교과형 논술 직무연수를 실시하고 ‘논술면접준비OK’의 실시간
첨삭지도, 9개 중심학교 벨트(Belt)형 논술 글방 운영, 54팀의 논술교육 교사동아리를 운영한다.
글로벌 파트너십 교육 강화
△예절 중심의 인성교육 강화=교육과정을 통한 기본생활습관을 지도하고 실천 위주, 공동체가 함께하는
예절교육이 되도록 무학년 투게더 운동과 사랑나눔 학생 봉사활동을 내실화한다.
△인권·자율·책임 존중의 생활지도=학교폭력대책 안전망과
피해학생 one-stop 서비스 지원센터 , 상담자원봉사자 및 전문상담순회교사 운영 등 안전학교 시스템 구축해 학교폭력을 예방·근절한다.
△국제이해교육 증진=다문화가정을 찾아가는 교육 프로그램과 일본, 중국, 북미주, 대양주 등 다각적인 국제교류 추진하고 새터민 자녀 교육과
화해 협력 시대의 통일교육을 추진한다.
△외국어교육의
내실화=‘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을 활성화하고 원어민과 함께하는 캠프, 잉글리쉬업 경연대회, 영어전용교실을 확충하고 우수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를
확대·배치한다.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학교 교육과정의 탄력적 운영=교육과정 지원장학협의단 및 교육과정 도우미센터 운영으로 학교 교육과정
지원을 강화하고, 계절·주말학교에서 학생 선택권 확대한다.
△학교교육의 다양화·특성화=지역인사 인력풀제 및 사회교육시설을 활용해 재량 및
특별활동 운영을 내실화하고, 17개교의 자율학교 지정해 학교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학업성적 관리의 공정성
제고=성적·생활기록부 도우미센터와 학업성적관리위원회 운영, 대학과의 협의체 운영, 비교과영역 신뢰도 제고로 학업성적 관리 체제를
강화한다.
△탐구 중심의 과학교육=38실의 과학교실, 45팀의 과학동아리, 10실 40과정의 발명교실, 17교의 체험 환경교육
시범프로그램, 20반의 환경탐구반을 운영한다.
△영재교육의 활성화=영재교육 담당교원에게 승진 가산점을 부여하고 영재교육원을
16기관으로 확대해 5기관 100명의 소외계층 영재학생을 특별 지원한다.
교원의 전문성 함양
△교과교육 연구활동 활성화=초등 40팀, 중등 55팀, ICT활용연구회 25팀의 교과교육연구회와 60개 교과 교수·학습자료 개발을 지원한다.
온라인 교수학습 지원
△교육정보 인프라 고도화= 정보 인프라에 139억원을 지원하고 56개의 교육정보화 연수과정을 운영하며 9개 지역교육청에 교육정보화
A/S지원단을 운영한다.
△교수학습지원센터 운영의 내실화=수업준비OK, 논술면접준비OK, 수능준비OK(OK삼형제)를 활용하는
교수학습지원센터를 활성화한다.
△맞춤형 사이버가정학습 운영=수준별 콘텐츠 개발, 400명의 사이버가정교사, 100명의 학부모 튜터,
30명의 선도교사를 운영한다.
수업혁신 지원장학 강화
△맞춤식 수업장학의 다양화=15개 지역교육청별 지역장학요원 운영, 교수·학습 컨설팅 그룹 조직, 자기수업 브랜드 갖기 운동과 사이버 장학
활동도 전개한다.
△교실수업 개선 지원=교과별 팀티칭에 의한 공개 수업을 확대하고 수업공개의 날을 운영하며 우수 수업장면은 VOD로
홈페이지에 탑재해 공유한다.
교직원 사기 진작
△스승 존경 운동 확산=교육공동체와 함께하는 스승 존경 운동, 언론기관과 공동 기획하는 캠페인을 전개하고 충남교육을 빛낸 교원을 발굴
표창한다.
△교직원 업무경감 지속 추진=교원업무경감연구팀 운영, 문서취합시스템 활용, 676명의 교무지원 인력을 배치한다.
△즐거운
직장 만들기 운동 전개=토론문화와 직장 동호인 모임을 활성화하고 전 직원 한마음 갖기 행사를 연다.
교육의 균형 발전 도모
△유아교육의 내실화=131억의 유아교육비 지원, 91%의 종일반 운영, 유아교육 순회교사제, 유치원 3개원 1팀제, 3억 1582만원을
사립유치원에 지원한다.
△특수교육 지원 확대=특수 전담인력을 배치하고 16학급의 특수학급을 신·증설, 4억 2400만원의 교육비
지원,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운영한다.
△농어촌교육 활성화=165개교 초등 농어촌지역중심학교, 30개교의 중등 농어촌거점학교 4개교의 농어촌
1군 1우수고를 육성한다.
△공·사립학교간 균형발전 도모=사립학교 과원교사를 공립학교에 특별 채용하고 31개교에 14억 4700만원으로
노후시설 개선을 지원한다.
학교급식 운영의 내실
△쾌적한 급식환경 조성=37억 5000만원으로 12교의 노후 급식시설을 개축하고 7억 8200만원으로 2교의 급식시설을 확충한다.
△학생 급식비 지원 지속 추진=농어촌 학생 급식비 지원을 지속하고 저소득층 학생 급식비로 76억 3000만원, 학기 중 토·공휴일 중식
지원에 32억 7000만원을 투입한다.
△균형있는 급식 제공=7개교의 위탁급식 직영 전환을 추진하고 급식 질 향상을 위한 지자체의 식품비
지원을 확대한다.
학교체육 보건교육 강화
△체육영재 발굴 육성=15교의 꿈나무 육성 거점학교를 운영하고 학생선수보호위원회 설치하여 체육특기생 관리에 충실을 기한다.
△학교
보건·위생 교육의 강화=전염병 예방관리, 비만예방 건강캠프로 학교보건예방활동을 강화하고, 학생건강검진, 학생 뇨검사 및 체격검사를
실시한다.
복지친화적 교육안전망 구축=저소득층 자녀 학비와 정보화, 사랑의 수호천사 및 사랑의 동전 모으기, 난치병 학생, 소년·소녀 가장을 지원하며 「충남교육사랑 장학재단」에서도 소외계층을 지원한다.
교육행정 혁신역량 강화
△현장 지원 중심 교육행정 추진=‘100점 정책’을 분기별로 평가하고, 업무편람·체험지식보고서, 내 지식 나누기 운동 등으로 지식관리를
개선하며 교육정보지 충남교육소식을 발간 배포한다.
△통합 디지털시스템 선도적 운영=디지털 예산·회계 시스템, 업무관리, 균형성과,
지식관리를 통합하는 지방교육혁신 통합디지털시스템을 시범 운영한다.
공정한 인사행정 구현=실무 중심의 전문직 공개 전형 실시, 인사위원회의 외부인사 참여 확대, 학교장 초빙공모제, 여성교원 인적자원 계발, 여성관리직 임용 확대 방안 등을 추진한다.
교육 재정·시설 효율적 운영
△안정적이고 다양한 재원 확보=지방자치단체 전입금 교육경비조례 제정을 확대 추진하고, 학교신설 11교, 증·개축 1교의 내실 있는
민간투자사업을 추진한다.
△수요자 중심의 시설사업 추진=명예감독제, 자체평가단 운영, 3-Step제 운영으로 수요자가 참여하는 시설사업을
추진한다.
단위기관 책무성 제고
△학교·기관 평가의 내실화=유·특수학교, 초·중학교의학교평가를 실시하고,12개교맞춤평가,직속기관 및 지역교육청에 대한 기관평가를
실시한다.
△예방·지원 중심 감사=연 2회 청렴 역량 강화 예방연수를 실시하고 7개 분야의 사이버 감사 신문고를 설치·운영한다.
학교교육 만족도 제고
△학교운영위원회 운영의 내실화=학교운영위원회 협의체를 구성하고 학교운영위원회의 전문성을 제고, 우수사례를
발굴·전파한다.
△교육공동체의 교육활동 참여 확대=‘교육사랑의 날’을 운영해 수업, 발표회, 축제 등에 학부모가 참여하도록 한다. 열
손가락 교육사랑 A/S(Added Service) 운동을 확산한다.
△학교 운영 정보공개 서비스 활성화=출결, 학업성적, 행동발달 등 내
자녀 학교생활 바로 알기를 서비스하고, 학교홈페이지에‘정보공개방’을 설치 운영한다.
지역사회·기관과 협력
△학교의 지역문화 센터화=학교 시설을 평생교육장으로 적극 개방하고 학교 축제 문화 활성화하여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 교육을
실시한다.
△유관기관과 협력 체제 구축=대외협력기획팀(가칭)을 구성해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사업, 충남·대전교육청간 교류, 관·군·산·학
교류협력 사업 등을 활성화한다.
신뢰와 협력의 학교문화
△교직단체와 신뢰 관계 구축=교직단체 활동 지원하고 단체교섭 및 협의회를 추진하여 신뢰와 협력의 동반자 관계를 확보한다.
△교권
보호기능 강화=고문변호사를 위촉해 교권침해에 자문하고 ‘학교교육분쟁조정위원회’를 두어 교원안전망을 구축한다.
평생학습 활성화
△평생학습 기회 확대= 3개교의 평생교육연구시범학교, 30개교의 평생교육선도학교를 운영하고, 제7회 충남평생학습축제를 성공적으로
개최한다.
△평생학습기관 운영의 활성화=다문화가정 교육의 강화, 지역별 평생교육기관의 연계 체제 구축하고 충청남도평생교육원의
지역평생교육정보센터 역할을 강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