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공동발전연구단, 충청권발전특별법을 위한 워크숍 3월20일쯤 개최밝혀.
충청권 3개시'도 공동발전연구 시동
충청권공동발전연구단은 충청권발전특별법을 위한 워크숍을 오는 3월20일쯤 개최한다고 밝혔다.
8일 오전11시 충청권 3개시도연구원은 대전시청회의실에서 '충청권 공동발전연구단'을 출범하고 충청권 공동발전을 위한 공동연구에 나서기로 협약식 개최했다.
![]() |
||
육동일 원장(대전발전연구원)'이수희원장(충북개발연구원)'김용웅 원장(충남발전연구원)은 학술'연구교류 협약을 체결하고 최근 충청권 지역간 상생협력에 대한 논의와 요구가 고조됨에 따라 충청권 공동발전을 위한 연구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해 지역현안에 대해 공동 대응하고 충청권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하기로 했다.
3개시도연구원장은 대전시에 충청권공동발전연구단 사무국을 빠른시일내에 설치하고 오는 3월쯤에 충청권공동발전구상안 구성을 위한 세미나를 갖기로 협의했다.
특히 충청권 연구원장들은 충청권의 연구주제 사안별로 적극적인협력과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앞으로 충청권 3개 시도연구원은 충청권의 지역경제, 교통'물류, 관광, 환경 등 전분야에서 충청권 공동발전연구단의 구축, 공동 정책개발, 연구수행 및 세미나 개최, 연구인력의 상호지원, 각종 연구보고서 및 간행물 등의 상호 제공, 상호 정보교류를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상생발전을 위한 연구협력 및 교류를 추진하게 된다.
충청권발전 공동연구단은 경제협력팀, 교통'물류팀, 관광팀, 환경팀의 4개팀 총 12명으로 구성하기로 하고, 초광역 산업클러스터 및 지원체계 구축, 통합교통망 및 물류유통체계, 문화관광사업 협력, 환경협력, 통합경제권의 추진조직 및 제도개발 등 충청권 통합경제권 구축을 위한 연구를 비롯, 충청권발전특별법 제정을 위한 논리 개발, 대수도론 및 수도권 규제완화에 대한 대응논리, 충청권 정책현안에 대한 공동대응방안 등을 집중 연구해 나가기로 협의했다.
육동일 원장(대전발전연구원)은“이번 협약체결로 충청권 공동발전을 위한 연구원간 협력 뿐 아니라 지역전체의 협력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충청권 협력의 이론적 토대 구축과 함께 충청권의 역량을 결집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전발전연구원은 지난해 12월 충청권 3개 시'도광역단체장이 정책협의회를 열어 충청권 공동발전 5개안에 합의했다.
또한 지난달 15일에는 ‘행정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대전과 충남의 만남’이 개최되는 등 충청권 지역간 상생협력의 필요성 높아짐에 따라 충청권 3개 시'도연구원도 충청권의 요구를 하나로 결집하고 협력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해 이번 협약을 체결하게 됐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