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하나 밖에 없는 도축장 경매중

수 년간 방치 하고 있는 축산 행정에 시민들 시 축산물 관리 믿을 수 없다

2007-03-27     김거수 기자

대전시에 하나 밖에 없는 가축 도축장이 수 년간 경매 절차에 들어간 가운데 타시도에서 돼지,소등이 도축돼 시민들의 밥상으로 올라오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대전시 대덕구 오정동 705-60, 64, 74, 78, 88, 287 토지 8,642㎡ / 건물 5,419.743㎡ 농산물 유통단지 주변에 위치한 대전유일의 육류 도축장으로 영업했던 대양식품 대표 박모(58세)씨는 불실경영으로 2006. 4. 17(주)필드메이커(채권자)가 경매신청서 제출(대전지법)부터 현재까지 낙찰자가 없어 휴업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공무원에 따르면 현재 대전 시민들 밥상에 올라가는 돼지고기 및 소고기는 충남 충북 경북 등 외지에서 도축해오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둔산동에 거주하는 주부 이모씨는 수 년간 타 시도에서 도축해오고 있는지 몰랐다면서 관련공무원 누구 하나 이 문제를 해결해보려는 의지도 없이 강건너 불구경하는 모습에 실망스럽다.고 비판했다.

대전시와 입장 같았던 대구광역시의 경우 시장이 인수해서  시 직영으로 운영하며 업자에게 임대 시민들의 건강보호에 앞장서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 공무원A씨는 대전 소재 양돈농가는 400개소로 이들은 현재까지 도축장이 없어도 불편한 것이 없다는 주장이다 그는 대전에서 하루에 소비되는 돼지수가 600마리 소 60마리 정도라며 지난 추석때나 올해 설날에도 공급 하는데는 아무런 지장이 없었다고 역설 했다.

현재 대전시에 등록된 정육점은1300개 업소가 있으며 돼지 가 공장 100개 와 부산물 취급점이 있다.

그러나 대전시는 개인 도축장이라는 이유로 수수방관하고 있으며 구제역등 가축질병의 확실한 검사기관인 관할구청,보건환경연구원.시 축정담당이 관리감독하고 있지만 타 시도에서 불법으로 유입되는 축산물에 대한 무방비 상태인 것으로 시민들을 먹 거리 안전을 위협하고 있어  시 당국의 적극적인 대책이 요구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