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에 부착 가능한 스마트 웨어러블 화학센서 개발
대전대·KAIST "루테늄산화물 나노미터 두께로 합성...극미량 유해가스 감지
대전대 박희정 교수·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일두 교수 연구팀은 6일 대기 중의 극미량의 이산화질소(NO₂) 가스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웨어러블(Wearable)센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산화질소 가스는 자극성 냄새가 나는 유해한 기체로, 주로 공장 굴뚝이나 자동차 배기에서 배출된다. 이산화질소 가스에 장기적으로 노출되면 피부 및 눈에 악영향을 미치며, 흡입시 호흡기에 치명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화학적 박리법을 통해 층상구조를 갖는 2차원 루테늄산화물 (RuO2)을 1 나노미터 (nm) 두께의 초박막 시트(나노시트)로 합성해 유해 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고감도 센서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루테늄산화물 나노시트가 유해 가스분자와 반응할 수 있는 면적이 넓은데다 2차원 구조의 우수한 유연성으로 인해 웨어러블 화학센서 소재로 응용하기에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기존의 루테늄산화물 나노시트는 에너지 저장 및 변환 소재로 주로 응용돼 왔으나, 웨어러블 화학센서 소재로 개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대부분의 산화물 나노시트 소재들은 상온에서 가스에 대한 반응 특성이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기 때문에 가스 감지 소재로 활용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었다. 연구팀은 유연 플라스픽 센서 기판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루테늄산화물 나노시트의 이산화질소 반응을 높이기 위해 은 (Ag) 나노선으로 이루어진 발열체를 센서 기판에 적용했다. 개발된 센서는 유연하게 휘어지는 특성을 나타내 옷에 부착 가능한 스마트 웨어러블 센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전대 박희정 교수는 “2차원 층상구조의 높은 유연성과 독특한 전도성질 때문에 루테늄산화물 소재는 화학센서 분야를 포함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나노 에너지 및 기능성 나노소재 분야의 산업소재로 확장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연구결과는 신소재 응용분야 세계적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IF 11.382)' 4월 5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