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의회, 공사현장 저감 및 관리 강화해야
'대기질 개선을 위한 연구모임’ 서울시 대기질 개선사례 연구
대한민국은 연일 미세먼지로 몸살을 앓고 있다. 불과 며칠을 제외하면 맑은 날이 없었다고 할 정도다.
5월 9일 장미 대선에 출마한 5당의 후보들은 미세먼지 해결대책으로 석탄화력발전소 감축 및 LNG발전 확대 등을 내 놓았다.
세종특별자치시의회(의장 고준일) “대기질 개선을 위한 연구모임(대표 김정봉 의원)”은 사회의 미세먼지 감축 노력에 발맞추어 세종시 지역적 여건과 특성에 적합한 대기환경 기준을 설정하고 쾌적한 대기환경 조성을 위한 실질적인 저감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박창재 위원(세종시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대기질 개선을 위한 연구모임'에서 세종시 대기질 개선을 위한 서울시 대기질 개선사례를 소개했다.
박 위원은 "서울시 2017년도 대기질 특별대책은 미세먼지 3대 원인인 자동차 (35%), 건설기계(17%), 비산면지(12%)에 강도높게 대응하고, 교통 수요를 줄이기 위한 3대분야 15개 과제를 이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2002년 이전 등록된 서울시 노후 경유차 운행 제한, 노후경유차 운행제한, 인천·경기 등록차량도 서울시 유입불가 대책을 내놓았다.
아울러 2017. 8월부터 저공해 버스가 아닌 경우 노선 신설이나 조정등에 부동의 할 방침이며, 전기오토바이 구입시 25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건설공사장 및 생활주변 오염원에 대한 강력한 비산먼지 저감대책을 실행하고 있다. 공공부문 건설공사 계약시 저공해 건설기계사용 의무화, 도로 분진 흡입차, 물청소차 확대, 공회전 차량 단속 등을 시행해 대기질을 개선 하고 있다.
특히 전기차 보급확대, 국제 자동차 환경등급제 시행, 공영주차장 요금 현실화, 교통유발부담금 높게징수, 공공자전거 확대 시행 등으로 큰호응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창재 위원은 "세종시 대기질은 인근 도시인 대전시와 청주시의 70 ~ 80% 수준이고 점점 악화되는 추세이므로 수도권 수준의 관리기준으로 강화해야 하며, 총량관리제도 도입을 검토하고, 정확한 오염현황과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미세먼지 등의 대기 측정망을 설치 하고 측정지점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건설지역과 읍면동 지엮의 건설과 공사현장이 많아 저감 및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