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4차산업혁명 특별시 "본격 추진"
8일, 대전비전 선포식..."다시 뛰는 대전경제, 우리가 함께합니다"
대전시가 4차 산업혁명 특별시 육성을 위해 본격 나섰다.
대전시는 8일 오후 2시 대전시청 대강당에서 민‧관‧산‧학‧연 관계자 등 7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다시 뛰는 대전경제, 우리가 함께합니다.’라는 슬로건으로 ‘4차 산업혁명 특별시, 대전비전 선포식’을 개최한다.
이번 ‘대전비전 선포식’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전지역 공약에 따라 새 정부 정책 부응과 선제적 대응을 위해 대덕특구, KAIST, 과학벨트 등 우수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대전‧충청권은 물론 대한민국을 아우르는 4차 산업혁명 핵심거점 지역으로서 기반을 공고히 하면서
지역의 역량과 지혜를 결집하여 대전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새로운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행사를 추진한다.
이날 권선택 대전시장은 "대전시가 4차 산업혁명의 특별시가 되면 여러분들은 특별시민이고 저는 특별시장"이라며 "좋은 기회를 잡아 잘 정착하고 만들어 전국에 확산시켜야 할 것이 우리의 임무"라고 말하며 적극적인 지지를 당부했다.
박희원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은 "4차 산업혁명은 경제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며, "대전 지역 경제인들도 4차 산업혁명의 성공을 위해 적극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오덕성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 인재육성지원 협의회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가장 중요한 것은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지식 인재 양성이라고 생각한다"며, "대학이 4차 산업혁명의 성장동력이 되도록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김경훈 대전시의회 의장은 "4차 산업혁명시대는 우리 산전벽해의 기회"라며 "주도권 확보를 위해 민‧관‧산‧학‧연이 적극 돕겠다"며 의지를 밝혔다.
이어 이규호 대덕연구개발특구 기관장협의회장은 "4차 산업혁명은 여러분의 절대적 성원이 필요하다"며, "대덕연구단지협의회도 적극 지지 하겠다"고 말했다.
정성욱 대전시건설단체총연합회장은 "4차 산업혁명은 모든 기술을 융.복합한 시대의 새물결이며 변화,혁신의 시기"라며 "대전을 살맛나게 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시민들이 4차 산업혁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로봇, 드론, 3D 프린터, VR/AR, 첨단센서 등 지역 혁신기업 15개 기업이 참여하는 체험부스도 병행 운영한다고 밝혔다.
행사는 개회를 시작으로 축하 쇼는 지역의 혁신기업인 ㈜엠알티 인터내셔널(대표 길완제)에서 댄스로봇을 지원했고, 또한 춤추는 로봇들의 시청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카이(대표 김영휘)에서 개발한 Screen-X(다면영상 시스템)을 적용하여 보는 이들로 하여금 체감지수 높일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어, 문재인 대통령 지역 공약 동영상, 시민바램 동영상, 권선택 시장의 비전 발표와 지역대표 의지표명, 퍼포먼스를 순으로 진행한다.
권선택 대전시장은 ‘4차 산업혁명과 대전시의 대응전략’ 비전 발표을 통해 대전시의 신산업, 인프라, 실증화의 3대 전략과 12개 추진과제의 추진방향을 설명했다.
권 시장은 이 자리에서 먼저, ‘신산업’으로 스마트 융복합 산업육성을 위해 대동‧금탄, 신동‧둔곡, 안산 지구 등 핵심지역으로 하여 유전자 의약산업, 특수영상, 국방 ICT, 로봇, 첨단센서 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인프라’로 대덕특구에 융합공동연구센터를 조성하고, 연구소 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종합지원센터와 스마트 제조혁신센터, 빅 데이터 서비스 지원센터 건립 계획도 추진한다.
특히, ‘실증화 단지’를 조성하여 연구성과물의 실제 적용과 전국 확산을 위해 4차 산업혁명 체험·전시관, 스마트 빌리지와 스마트 스트리트, 로보틱 실버타운 추진 계획 등을 발표한다.
대전시 관계자는 “이번 행사는 대전을 ‘대한민국의 4차 산업혁명 특별시’로 육성하기 위한 전략을 조기에 마련하여 새 정부 출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첫 단계”라며
“앞으로 지혜와 역량을 결집하여 구체적 추진방안을 수립하는 등 4차 산업혁명 특별시로서 대한민국 발전의 마중물 역할을 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4차 산업혁명 특별시 육성을 위해 관련 그동안 관련 분야 전문가, 기업인, 학계 등 의견수렴 과정을 거쳤으며, 앞으로 전담조직을 신설하고 시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 추진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체계적 대응에 나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