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회 보문미술대전 수상자 선정"
대상은 조소부문에 출품한 유지희씨 작품 '그리움이 있는 휴식'
"제9회 보문미술대전 수상자 선정"
대전시 중구(구청장 이은권)가 주최하고 대전중구문화원(원장 조성남)이 주관한 '제9회 보문미술대전' 영예의 대상은 조소부문에 출품한 유지희씨(1982년생, 대전 서구 만년동)의 작품 '그리움이 있는 휴식'이 차지했다.
보문미술대전 심사위원회(위원장 임봉재)는 8월 9일 한국화, 양화, 조소, 공예, 판화, 서예 등 6개부문 출품작을 심사한 결과, 조소부문에 출품한 유지희씨의 작품 “그리움이 있는 휴식”을 대상으로 선정 발표했다.
심사위원들은 “절제된 형태를 통해 공간을 긴장시켜 깊은 여운을 남기는 작품으로 동물에서 도입한 형상을 통해 친근한 느낌을 자아내는 감정을 끌어냈고 차분하면서도 끝까지 관계하고 싶은 인간과 자연의 고리를 잘 표현했으며, 주제에 맞는 형상과 따뜻한 느낌의 대리석 재질의 선택이 아주 적절했다”고 평가했다.
대상 수상자인 유지희씨는 “보고 싶고 만나고 싶은 마음을 간직하며 그리움을 느끼는 마음을 작품에 담아냈다”고 출품의도를 밝혔다.
한편, 대상분야를 제외한 5개 부문별 최우수 작품으로 ▲한국화부문(조강수-상실시대) ▲양화부문(강민정-휴식) ▲공예부문(김충렬-어느 가을밤의 꿈) ▲판화부문(김지현-The Singing sea) ▲서예부문(최석주-만해선생시)을 각각 선정했다. 이외에도 부문별 우수상 각1개 작품과 36개의 특선작품과 73개의 입선작품 등 총121점의 작품을 선정했다.
이번 보문미술대전에는 총 164점의 수준높은 작품이 출품됐으며, 대상 작가에게는 상패와 부상으로 3백만원(매입가), 부문별 최우수 작가 5명에게는 상패와 각 1백5십만원(매입가), 우수상 작가 6명에게는 상패와 각 50만원의 시상금이 주어지게 된다.
시상식은 오는 8월31일 오전11시 연정국악문화회관 제1 전시실에서 갖게 되며, 이번 입상작 121점은 8월 31일부터 9월6일까지 일주일간 연정국악문화회관 전시실에서 전시될 예정이다.
한편 보문미술대전은 독창적인 생활문화 창조를 통한 구민화합에 기여함으로써 지역예술인들의 사기진작과 중구의 전통과 특성을 살린 향토문화제로 승화 발전시키기 위해 지난 99년부터 열리고 있다.
** 제9회 보문미술대전 대상 입상자 소개
1. 성 명 : 유지희 2. 생년월일 : 1982.2.26 3. 작 품 명 : 그리움이 있는 휴식
4. 연 락 처 : 010-4767-8161 5. 주 소 : 대전시 서구 만년동 강변(아) 103-1102
6. 경 력 : 신진작가전(07), 덕소정담전(07) 7. 작품사진 , 인물사진 및 수상소감
제9회 보문미술대전 입상자 명단
▲대상 (1)
< 조소 > : 유지희(그리움이 있는 휴식)
▲최우수상 (5)
< 한국화 > : 조강수(상실시대) < 양화 > : 강민정(휴식) < 공예 > : 김충렬(어느 가을밤의 꿈) < 판화 > : 김지현(The Singing Sea) < 서예 > : 최석주(만해선생시)
▲우수상 (6)
< 한국화 > : 임진우(어느 여름날) < 양화 > : 강계순(여름날의 정취) < 조소 > : 어호선(갯벌)
< 공예 > : 정다빈(꽃) < 판화 > : 김이주(비상전) < 서예 > : 김옥자(태산불양)
▲특선 (36)
< 한국화 > : 신경재(첫걸음), 이상숙(여름계곡), 신윤진(탈피), 주대희(때늦은 점심), 장혜인(금어)
김대욱(야경), 송형정(기다림) /7명
< 양화 > : 이영선(봄이오는소리), 김경혜(일체와 흐름 Ⅱ), 김도곤(오윤-X팔),이연주(그리움),
김정수(아!고구려), 문성순(뻥이요!), 신순재(강넘어에는), 김명숙(화원),
김경희(겨울애성) /9명
< 조소 > : 황혜진(시작된 갈등) , 윤순희(꽃의 생명력) / 2명
< 공예 > : 이현정(자화상), 오형신(꿈), 김은경(비원), 임헌복(사이간) /4명
< 판화 > : 맹지영(비산비야), 민예랑(다섯명의 여인들), 임연창(Marginal- help me),
배수진(Consciousness and Destory Ⅲ), 강내희(네코 B`S Garden), 장수형(초대) /6명
< 서예 > : 고상호(주희선생시), 김희진(율곡선생시), 이실자(우정), 임영진(홍충경선생시),
조덕삼(대지의불), 홍대수(명도선생시), 박복희(맹호연시), 한기연(최계선생시) /8명
▲입선 (73)
< 한국화 > : 고묘석(소망), 장건이(봄소식), 이상희(고향마을), 강호윤(장백폭포),
구진영(자연속에서), 민예진(Human in Blue), 우용규(그리움),
이민우(07일상-휴식), 이정우(도자기파우다), 이동우(2007바램pt-8),
백지훈(엄마의장바구니), 김선영(모더니즘), 백범용(아 금강역사),
김경철(무제), 최미연(내인식의세계), 김동아(향연), 고영자(가을산화)
노대연(대학로), 남혜림(바람의노래) /19명
< 양화 > : 유영대(한잔의 여유), 김창유(생명의 숲), 이재익(바다이야기), 박대선(샘..배출의욕구),
송인혁(화자), 이교순(봄의희망연가), 박정순(상신리계곡), 박영필(동해바다),
김현정(공통분모,분단의아픔), 김은영(그리움으로부터), 권미영(그해겨울),
한은숙(뒷뜰), 박일미(쉼), 전재식(합창), 허기옥(아침느낌), 한순족(어울림),
김덕순(독백), 이진욱(한봄의 오후), 전우경(소나무가 있는 풍경) / 19명
< 조소 > : 김재호(추억담기), 유정민(내안의 어머니), 전백진(뮤제) /3명
< 공예 > : 김성호(한마음), 김현진(Volcano), 우동민(심화), 임옥순(우리), 김은실(어머니),
김화중(채움), 이수진(바람의 선율) /7명
< 판화 > : 조승희(비밀), 송현미(StoryⅠ), 이보람(木의 꿈), 박현주(봄의 왈츠),
서유미(살풀이), 박지윤(그사람의 열정), 곽지영(자화상), 박영(Optical-illusion) /8명
< 서예 > : 양승순(이혜인행복한아침), 박석(사무사화광동진) , 박춘옥(대나무와 참새),
박건태(학서위락구), 김정자(절구), 이경현(우울), 박성미(불역쾌재행),
오진화(풍교야박), 김정일(모란), 김상혁(율곡선생시), 정광자(송강선생시),
정광석(천자문구), 김종태(천자문구), 김순미(천자문구), 김구재(천자문구),
안덕하(장적선생시), 고정수(서기이씨봉서) /17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