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개 국·공립대 기획처장들, "정부가 지역불균형 초래"
대형 국립대 집중 육성= 지역불균형 정책
‘대형 국립대 집중 육성’이라는 새 정부의 대학정책 방침이 알려지면서 전국 19개 ‘중소형 국립대’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전국 지역중심국·공립대기획처장협의회(회장 류장수·부경대 기획처장) 소속 19개 대학 기획처장들은 지난 27일 오후 부산 남구 부경대에서 긴급회의를 열었다.
이날 19개 대학 기획처장들은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경제가 살아야하고, 그러려면 그 지역에 뿌리내리고 있는 지역중심 국립대가 살아야한다”면서 지역중심 국립대를 소외시키려는 정부의 대학정책을 ‘지역불균형 정책’이라고 한 목소리로 성토했다.
전국 21개 시·군에 뿌리내리고 발전해온 한밭대 부경대 서울과기대 등 19개 지역중심 국·공립대학은 규모는 중소형이지만 특정분야에서 저마다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진 강소대학들이다.
이날 기획처장들은 이 같은 지역중심 국공립대의 중요성과 위상을 외면하고 정부가 대형 국립대인 부산대 경북대 등 9개 지역거점 국립대 위주의 불공정 국립대 육성정책을 편다면 중소형 국립대의 경쟁력 약화로 그 지역도 공동화할 우려가 크다고 비판했다.
현재 서울과 광역시로 모든 것이 집중돼 나머지 지역의 공동화가 심화되는 국면에서 국립대마저 대형 국립대 위주로 편중 지원하려는 새 정부의 대학정책은 서울과 지방이라는 격차에 이어 ‘지방 속에 또 다른 지방’이라는 또 다른 격차를 초래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기획처장들은 중소형 국립대들은 대형 국립대가 육성하기 힘든 분야의 인력양성에 특화되어 있고, 대형 국립대보다 적은 예산으로도 특성화 효과가 빠르게 나온다는 점에서 오히려 중소형 국립대 혁신 발전을 위한 육성 지원책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류장수 회장(부경대 기획처장)은 “이날 모인 각 대학의 의견을 지역중심 국·공립대 총장협의회를 통해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등 정부에 전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