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공단, 철도기술용어와 공단규정용어 "쉽게 바뀐다"
이해관계자와 일반국민이 이해하기 쉽도록 용어순화
한국철도시설공단(이사장 강영일)은 ‘철도기술용어와 철도공단 규정’에 남아있는 일부 어려운 한자어, 일본식 한자 표현을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용어순화를 추진 중이라고 29일 밝혔다.
공단은 관계법령에 따라 임직원들이 지켜야할 규정 162개를 제정·시행하고 있으며, 건설공사 등 계약발주 시 관계법령 뿐만 아니라 ‘공사 및 용역 관리규정’ 등 공단의 규정을 계약내용에 포함시켜 협력사 관계자에게도 규범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규정의 용어가 어렵거나 모호할 경우 규범으로써 실행력이 저하될 수 있어, 공단은 이해관계자가 알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공단 규정의 어려운 용어를 6월 초부터 순화하고 있다.
규정집과는 별개로, 공단은 일반국민이 쉽게 철도기술용어를 활용할 수 있도록 ’17년 11월까지 ‘알기 쉬운 철도기술용어집’을 발간할 계획이다.
공단은 분야별 전문가 10인으로 구성된 ‘철도용어 순화 연구회’를 발족하여 “공전→헛돌기”, “가교→임시교량”으로 순화하는 등 173개의 철도전문 기술용어를 순화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관련학회, 국립국어원 등 전문기관에 자문을 시행하여 발간한다.
또한, 공단은 남·북한 철도용어 사용례를 비교·분석하여, ‘알기 쉬운 철도기술용어집’ 발간 시 참고함으로써 향후 남·북 철도 교류협력에 철도기술용어집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한다.
강영일 이사장은 “공단 규정과 철도기술용어를 이용하는 국민들과 이해관계자가 최대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순화할 것”이라며, “어려운 철도용어를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정비해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