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각종 용역사업 대대적 손질

조정협의회 기능강화, 지역업체참여 확대 등

2007-09-11     김거수 기자

대전광역시가 용역사업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내년도 사업부터 기존 용역조정협의회의 기능을 강화하고 단계별․구간별 용역발주로 전환한다.

또한, 지역용역업체 참여기회를 확대하기위해 자격조건을 완화하는 한편, 용역사업추진시 30%이상 지역업체 참여확대방안도 검토중에 있다고 밝혔다.

시는 용역사업에 대한 사전심의 및 사후평가관리도 강화한다. 우선 용역사업의 심의요건과 용역비 산출의 적정성을 높이고 용역결과물의 활용실태 등 사후평가제를 도입해 용역이 남발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타 자치단체나 유관기관 등의 유사용역사례를 사전조사해 활용하는 방안도 적극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대전시는 지난 2년간(‘05년~’06년) 추진한 용역사업을 자체분석한 결과 총 223건 용역사업심의신청에 37건을 부결 또는 유보하고 83%인 186건을 실시했으며 이중 기술, 감사용역이 용역비 기준 전체의 86% 차지하고, 지역업체 참여는 건수로는 46.7%, 금액으로는 33%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용역 결과물에 대한 활용실태는 대체적으로 양호했으나 용역의 규모 조정이나 단계별 수행에 대한 면밀한 검토 없이 전체 용역비를 배정, 예산집행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중앙정부나 타 지자체 및 학계의 기 연구된 실적 활용이 저조할 뿐 아니라 내부인력의 용역참여 미흡, 지역 업체 참여를 위한 노력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이번 자체평가결과를 바탕으로 내년도 본예산 심의부터 그간 내부 공무원으로 구성해 운영하던 조정협의회를 외부전문인력을 위촉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지역업체 참여, 용역 활용도 제고 등 내실있는 용역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