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의료원 및 어린이재활병원 설립 방향은?

11일, 정책연구과제 보고회 개최

2017-08-11     김윤아 기자

대전시는 11일 오전 중회의실에서 장애어린이 재활병원을 비롯한 대전의료원 설립의 추가 논리 개발을 위한 대전세종연구원의 정책연구과제 보고회를 가졌다.

이날 보고회에서 대전세종연구원 장창수 박사는 대전에 건립하는 어린이재활병원은 중부권(세종, 충남, 충북, 전북지역)을 아우르는 거점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서울 넥슨 어린이재활병원 규모(121병상)는 되어야 하고, 운영주체는 국립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정경석 박사는 대전의료원의 위상과 기능을 국정과제와 연계하여 정립했고, 대덕특구에서 개발한 첨단의료기기 상용화를 위한 테스트베드 역할과 스마트병원시스템 도입 등을 제안했다.

이날 권 시장은 “중부권을 대표하는 모델이 되려면 150병상 정도는 되어야 하고, 어린이재활병원은 국립으로 건립하는 것이 좋겠으나 국립으로 하더라도 대전시가 할 일은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전시는 이번 연구결과와 오는 18일 공공의료 확충을 위한 정책 간담회에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이번 연구결과 보고회와 오는 18일 공공의료 확충을 위한 정책간담회에서 나오는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대전시의 어린이재활병원 및 대전의료원 건립 방향을 보건복지부에 건의하여 공공의료시설이 조속히 확충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