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희 시의원, 대전 30-40대 '맞춤형 인구정책' 토론회 개최

4일 정책토론회서 대전시의 인구 이탈을 막는 대안 제시 눈길

2017-09-04     김윤아 기자

대전시의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유·초등학생 자녀를 둔 30-40대 학부모들의 이탈을 막는 ‘맞춤형 인구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날 토론회를 주최한 대전시의회 최선희 의원(자유한국당)이 4일 시의회 대회의실에서 "대전의 인구가 2014년부터 올해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해 150만 명을 유지하기도 힘들 것이라는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고 밝혔다.

최 의원은 특히 "대전시 인구 감소 원인을 다각적으로 분석한 뒤 세대별·지역별·성별·분야별 맞춤형 대응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문했다.

이어 '인구증가 방안 마련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육동일 충남대 자치행정학과 교수는 “대전시의 인구 감소 문제는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도시 전체의 사활이 걸린 문제”라고 강조했다.

육 교수는 “자치단체의 인구 규모는 도시 위상과 경쟁력은 물론 중앙정부의 재정 지원과 예산 배분을 결정하는 절대적 기준"이라며 "특히 생산활동 가능 인구세대인 30-40대 중심의 인구 유출은 자연적 요인보다 사회적 요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대전 인구감소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육 교수는 이어 "30-40대 학부모들이 일자리와 자녀 교육을 위해 수도권과 세종시를 향해 대전을 떠난다면 대전의 미래 도시경쟁력과 지역경제는 붕괴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30-40대 학부모들의 이탈을 막기 위한 자녀교육과 일자리에 초점을 둔 맞춤형 인구정책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토론자로 나선 최시복 대전시정책기획관은 "인구절벽은 출생아 수 급감에 따른 국가 존립 위기 의식을 반영한 것으로 보이지만 이 절벽은 단순히 '출산장려’라는 하나의 사업만으로 넘을 수 없는 복합적 과제"라며 "시는 2015년부터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 등 3대 전략을 바탕으로 9개 과제 38개 실행과제를 부서별로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