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기 의원, "국토부, 수요예측 실패로 도로 남설"

5년간 4조4,800억 투입, 추정손실액 2조 9745억

2017-10-12     김용우 기자

국토부가 과도한 수요예측으로 도로를 남설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용기의원(대전 대덕, 자유한국당)은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12일 밝혔다.

정용기 의원실에 따르면 2011년 이후 개통된 전국의 120개 일반국도 가운데 41개(34.1%)가 설계 시의 예측통행량의 50%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가운데 13개 일반국도는 통행량이 예측통행량의 30% 이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도로법상 일반국도는 국도․국지도5개년계획에 맞춰 국토부가 사업추진을 하게 되는데 실제 설계 및 발주는 전국의 5개 지방국토관리청(서울, 원주, 대전, 익산, 부산)이 각 지역 수요를 반영한 실시설계를 통해 해당 도로건설의 필요성, 도로의 적정규모 등을 고려해 건설하게 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수요예측이 과다하게 설정되면 불필요한 도로가 건설되거나 또는 실제 통행량에 맞는 적정규모의 도로를 넘는 과도한 규모의 도로가 건설되는 것이다. 따라서 국가예산 낭비로 이어져 정작 필요한 도로건설에 차질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지난 5년간 4조4,800억 원이 투입됐지만 실제 실통행율을 고려한 적정 투자국비를 고려할 때 추정손실액은 2조9745억여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정 의원은 “내년도 SOC예산이 20% 이상 삭감되는 상황에서 국토부가 엉터리 수요예측으로 국비를 낭비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국토부는 국토의 균형개발을 위해 보다 정확한 수요예측으로 적정규모의 도로가 건설될 수 있도록 만전을 다해야 할 것이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