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호 박사 '충청권의 제2수도권화 전략' 발표 눈길
손희역 대전시의원(복지환경위원장)이 충청권 메갈로폴리스 구축에 대한 대덕구 역할론을 주장했다.
21일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에서 열린 ‘충청발전시민포럼 중부권 메갈로폴리스 전략과 구상 정책토론회’에서 손 의원은 “대덕구는 대전, 세종, 충남·북과 접근성이 높고 역사적, 문화적 상징성이 있어 메갈로폴리스 전진기지로 최적”이라고 이같이 말했다.
이어 “혁신도시가 추진되는 대덕구 연축동에 충청권 광역경제권 구축을 위한 전진기지를 설치하고 이를 중심으로 온·오프라인으로 소통하면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충청 상생발전 인큐베이터가 될 전진기지 운영 예산은 국비와 충청권 4개 시·도 출연금을 확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이같이 구축된 광역경제권 베이스캠프 역할에 대해선 충청광역 대중교통망, 충청 문화 관광 허브 역할, 국가산단 지정을 통한 상생단지 조성 등을 제시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서는 정치권 핫이슈로 부상한 행정수도 건설의 구체적 실천 방안으로 ‘충청권의 제2수도권화 전략’이 제시됐다.
이순호 박사(영국 헐 대학 정치학 전공)는 일부 정치권에서 제기되는 행정수도 논의가 세종시 일극화로 치우쳐져 균형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행정수도 역할의 충청권 분산 배치를 통해 국토균형발전과 충청 동반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박사는 행정수도 최초 추진 당시 나타났던 주변지역 공동화 등 부작용을 지적한 뒤, “행정수도 건설은 다양한 지자체가 효과를 향유하고 집적이익을 극대화하며 지방분권의 대의를 이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박사는 충남 논산·계룡·금산지역의 상황 분석을 토대로 수도권의 행정기능 분산배치에 따른 충청권 상생을 위한 구체적 청사진도 제시했다.
그는 “육군사관학교를 계룡이나 황산벌로 이전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며 “기존의 연무대 육군훈련소, 양촌 국방대학교, 계룡대 등과의 집적 이익이 크고 논산과 계룡이 갖고 있는 역사적 가치 또한 사관학교 이전의 대의를 빛낼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이 박사는 “세종시의 행정수도 건설이 특정지역의 땅값만 올리고 타지역의 공동화를 유발하는 부작용을 가져와선 안된다. 이 문제 해결을 위한 최적의 방안은 메갈로폴리스 구축”이라며 “그 시작이라는 측면에서 논산, 계룡의 국방 인프라 집적화는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 시각에서 충청권의 제2 수도권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대전대 이창기 객원교수가 ‘미래한국, 중부권에 달렸다’는 주제로 발제를 진행했고 패널에는 손희역 의원을 비롯해 강영환 시사평론가, 류제화 변호사, 김흥태 미래전략연구원장, 이순호 박사 등이 참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