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뇌신경세포망 모사 인공섬유소자 개발
KIST, 뇌신경세포망 모사 인공섬유소자 개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1.06.03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물의 신경세포(왼쪽)와 인공신경섬유 비교
생물의 신경세포(왼쪽)와 인공신경섬유 비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광전소재연구단 임정아·주현수 박사 연구팀이 뇌의 신경세포망과 같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인공섬유소재 개발에 성공해싿고 밝혔다.

컴퓨터 연산을 뇌와 같은 방식으로 처리하기 위해 뇌의 뉴런 및 시냅스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소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들이 뉴런 혹은 시냅스 동작에 대한 소자를 각각 개발해오던 것과 달리 KIST 연구진은 두 가지 동작 특성을 모두 갖는 개별 소자인 인공신경섬유를 개발했다. 이 소자들을 연결하면 간단히 신경망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연구진은 2019년 개발한 섬유형 트랜지스터 소자를 활용해 인공신경섬유로 발전시켰다.

섬유형 트랜지스터의 전극으로 들어오는 전기적 자극에 따라 반도체 소재와 절연막에 존재하는 이온 사이에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나도록 설계해 시냅스처럼 전기신호의 강도를 기억해 전달할 수 있는 메모리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

이렇게 개발된 인공신경섬유는 여러 개의 전극에서 다발적으로 들어오는 전기적 신호가 자연스럽게 하나의 소자에서 통합되는 뉴런과 동일한 특징을 보였다.

연구팀은 개발한 인공신경섬유를 엮어 100개 시냅스로 구성된 인공신경망을 제작, 안정적인 소자 특성을 확인했다. 제작된 인공신경섬유 소자들을 이용해 음성인식 학습을 진행 시킨 결과 88.9%의 인식률을 달성했다.

연구팀은 “개발된 인공신경섬유 소자는 실제 뇌신경망과 유사한 대규모, 저전력, 고신뢰성 인공신경망을 실현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라며 ”인공신경섬유소자의 유연한 특성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반도체소자의 웨어러블, 로보틱스 등의 활용으로 이어질 수 있는 연구결과”라고 전망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