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성일종 의원 “장기대기 사회복무요원 면제자 5년 전보다 7665배 증가”
국힘 성일종 의원 “장기대기 사회복무요원 면제자 5년 전보다 7665배 증가”
  • 김거수 기자
  • 승인 2021.10.08 14: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면제자 수 1만 5331명 기록... 2015년엔 2명 불과

작년 장기대기로 인한 사회복무요원 면제자가 5년 전보다 7665배 증가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충남 서산시·태안군 성일종 국회의원(미래통합당)
충남 서산시·태안군 성일종 국회의원

국민의힘 성일종 국회의원은 8일 “지난해 장기대기로 인한 사회복무요원 면제자 수가 1만 5331명으로 2015년 면제자 수인 2명보다 약 7665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성 의원에 따르면 이렇게 사회복무요원 면제자가 대폭 증가한 사유는 지난 2015년 신체검사 규칙이 개정된 것이 주원인으로 보인다.

2010년대 초반부터 이어진 현역 입영 적체 해소를 위해 2015년 10월, 국방부령 제907호 ‘병역판정 신체검사 등 검사 규칙’이 개정됨에 따라 현역병 판정은 줄고 보충역 판정(사회복무요원)이 대량으로 늘기 시작했다.

2015년 2만 8000명이었던 사회복무요원은 이듬해 4만명, 2018년에는 5만 8000명까지 늘어났다.

또 사회복무요원 기관들이 요구하는 수와 소집대상자 수 간의 엇박자도 원인으로 꼽힌다.

사회복무요원 소집대상자 수는 2016년~2020년간 한 해 평균 약 4만 6000명인데 반해 기관이 요구하여 배정받은 사회복무요원의 수는 한 해 평균 약 3만 1000명밖에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 해 평균 잉여인원이 약 1만 5000명씩이나 발생하고 있다.

더군다나 2018년 병무청은 사회복무요원 소집자원의 적체 현상 해결을 위해 사회복무요원 대기기간을 종전 4년에서 3년으로 단축시켰다.

이에 따라 현재는 사회복무요원 소집대상자가 된 이후 3년 동안 기관에 배정받지 못하면 면제자가 되고 있다.

성일종 의원은 “국가의 꼼꼼하지 못한 병력 수급 계획 때문에 사회복무요원 대기자들은 언제 복무를 할 수 있을지 모른 채 기약 없이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몇 년 후면 저출산에 따른 입영대상자 감소로 적체 현상이 사라질 것이다. 따라서 병무청이 그전까지의 적체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