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대전 용산지구 학교 신설용지 삭제 여파가 점점 심해지는 모양새다.
대전시교육청이 용산초 증축 허가와 함께 임시 모듈러 교실 추가 설치를 결정했으나 현재 용산초에 다니는 학생들의 부모들이 반발하면서 난관에 부딪혔다.
13일 용산초 학부모로 구성된 모듈러 반대 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시교육청은 약 1000여 명의 학생 수용을 위한 모듈러 교실 설치 및 지하주차장 공사 계획을 학부모 등에 통보했다.
이 계획은 약 110억원의 예산을 들여 총 24개 임시 교실을 설치하고 2023년 750명을 수용하고 점차 확대해 과밀 학급을 막고 학습권을 최대한 보장한다는 것이 골자다.
그러나 현재 용산초에 다니는 학생들의 부모들은 모듈러 교실 자체를 전면 반대하고 있다. 교육청의 일방적 모듈러 설치 추진은 엄연한 학습권 침해이며 절차를 무시한 처사라는 것.
이들은 이날 시교육청 앞에서 반대 집회를 열고 “2019년 용산지구 학교 용지를 수요파악 행정실수로 삭제하면서 발생한 교육청의 명백한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3일 교육청 주관 설명회에서 모듈러 설치 반대에 대한 의견을 개진하고 699명 중 688명이 반대한 서명을 전달했다”며 “그러나 교육청과 시의회는 모듈러 설치 불가피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학교부지 원복을 통한 분교 설립, 구 용산중 부지에 분리 배치된 모듈러 설치 검토 등 대안 마련을 하겠다고 하지만 정작 검토된 것은 하나도 없는 것 같고 예산안 통과까지 눈 가리고 아웅식의 태도만 취하고 있다”고도 했다.
이와 함께 학부모들은 모듈러 교실의 안전성에도 의문이 든다고 주장했다.
한 학부모는 “가건물에 스프링클러도 없고, 환기도 안되서 화재 문제도 있다”며 “근데 그걸 보완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하는 등 아이들을 대상으로 실험하고 있는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모듈러 교실 설치에 대한 설득이 필요하다면 아이들 안전을 위해서 엄격한 기준을 세우고 입법하고, 수많은 안전상황을 시뮬레이션 하고 나서 학부모 동의를 얻어서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학부모들은 설동호 교육감과 유은혜 교육부장관 및 사회부총리 가면을 쓰고 모듈러교실 모형을 부수는 퍼포먼스를 펼쳤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용산초 증축과 함께 옛 용산중 부지 활용 방안 등 여러 가능성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