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안 수용률에 따라 '말뿐인 혁신' 전락 우려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혁신위원회가 지방의원 3선 초과 출마 금지 등을 담은 혁신안을 발표했다.
당내 고질적인 병폐로 꼽혔던 대의원 제도에도 대수술의 필요성을 피력했으나 실현 가능성이 낮아 말뿐인 혁신으로 전락할 것이란 우려의 시선도 있다.
박재묵 민주당 대전시당 혁신위원장은 23일 기자간담회와 당원·시민 보고회를 차례로 갖고 지난 11주간 활동 내용 및 최종 혁신안을 공개했다.
혁신안에는 민주·민생·소통·정책정당 등 4개 분야 14개 과제가 포함됐다.
민주정당의 과제는 △기초 및 광역의원 후보 공천 개혁 △대의원제도 개혁 △평당원협의회 설치 및 운영 △투명한 시당 운영, 민생정당의 과제는 △민생 대책기구 설치 △범진보세력과의 소통 강화 △민생 및 정책 시민제안 시스템 구축을 담았다.
소통정당의 과제는 △당원 참여 플랫폼 확대 △대시민 홍보 강화 △당원자치 지원사업 △청년 조직의 활성화, 정책정당 과제는 △정책 전담기구 설치, 의정활동 지원 프로그램 신설 정치아카데미 설치 및 상설화 등이 제시됐다.
특히 공천 개혁의 일환으로 시·구의원(지방의원) '3선 초과' 원칙적 금지 내용이 담겼다. 다만 3선 이상 출마 강행 시 공천 심사에서 감점을 주는 방식을 제안했다.
당내에서 꾸준히 제기됐던 권리당원·대의원 표의 등가성 문제도 대폭 조정하자는 개혁안도 눈길을 끌었으나 중앙당에서 수용할지는 미지수다.
박재묵 혁신위원장은 "올해 치러진 두 차례의 선거에서 패배한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시민은 성찰과 혁신을 주문하고 있다"며 "혁신의 실천을 통해 사랑받고 선택받는 정당으로 거듭나길 간절히 바란다"는 활동 소감을 남겼다.
한편 이번 혁신안은 민주당 대전시당 상무위원회로 제출되면 상무위는 사안별로 수용 여부를 확정하게 된다.
시당의 혁신안 수용률이 저조할 경우 11주간 혁신위원회의 활동은 무용지물이 되고 '말뿐인 혁신'이라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