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대덕퀀텀밸리 조성"...양자산업 선도도시로
대전시 "대덕퀀텀밸리 조성"...양자산업 선도도시로
  • 김용우 기자
  • 승인 2023.04.17 17: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양자산업 관련 10개 핵심기관 MOU 체결, 공동협력사업 추진키로
(왼쪽부터) 양은경 한국과학기술연구원장, 김재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방승찬 한국전자통신연구원장, 박현민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 이광형 한국과학기술원 총장, 이장우 대전시장, 박종승 국방과학연구소장, 주한규 한국원자력연구원장, 박흥수 나노종합기술원장, 최효진 국가보안기술연구소장.
(왼쪽부터) 양은경 한국과학기술연구원장, 김재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방승찬 한국전자통신연구원장, 박현민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 이광형 한국과학기술원 총장, 이장우 대전시장, 박종승 국방과학연구소장, 주한규 한국원자력연구원장, 박흥수 나노종합기술원장, 최효진 국가보안기술연구소장.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대전시가 양자산업 선도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양자기술은 중첩, 얽힘 등 양자의 물리적 특성을 활용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넘는 성능을 가능하게 할 파괴적 혁신기술이다. 최근 양자기술은 국가경쟁력을 좌우할 미래기술로 주목받으며, 기술 선점을 위한 국가 간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대전시는 17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국내 양자산업을 이끄는 10개 핵심기관과 업무협약을 맺고, 대덕퀀텀밸리 조성 및 양자과학기술 발전과 양자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해 공동 노력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에는 대전시를 비롯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국방과학연구소(ADD) △나노종합기술원(NNFC) △국가보안기술연구소(NSR) 등 양자산업 관련 관·학·연 핵심기관이 모두 참여했다.

협약의 주요내용은 △양자과학기술 연구개발 및 산업지원 인프라 구축 △양자과학기술 고급전문인력 및 산업인력 양성 △연구개발 및 핵심기술 확보 △양자 분야 투자 활성화와 양자관련 기업육성및 유치 △양자 분야 국가사업 유치 등에 상호 협력체계 구축을 골자로 하고 있으며, 향후 협의체 구성을 통해 이를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양자컴퓨팅, 양자통신, 양자센싱, 양자소재 등 그간 각 기관이 분야별로 개별 추진했던 양자 연구의 상호 교류와 동반성장이 이뤄지는 한편, 각 기관의 핵심역량과 노하우가 만나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국내 양자기술 전문인력의 절반에 가까운 47%를 보유한 대전시가 대한민국 양자산업의 거점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장우 대전시장.
이장우 대전시장.

이장우 대전시장은 “반도체가 현재 기술패권 경쟁의 핵심이라면, 양자기술은 기존 산업 전반에 패러다임을 뒤흔들 수 있는 게임 체인저 기술이다. 아직은 산업화 초기 단계이지만 앞으로 가야할 길이며, 장기적 안목을 갖고 키울 분야”라며 “대전은 양자 관련 기술역량 인프라가 어느 지역보다 잘 갖춰져 있는 도시이다. 이번 협약이 국내 양자산업 발전에 획기적 이정표를 만드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