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반 양측 주민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
[충청뉴스 권상재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은 단순한 물 관리를 넘어, 충남 미래 100년을 책임질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라고 호소했다.
김태흠 지사는 6일 오전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천댐 건설은 물이라는 큰 자원을 앞으로 어떻게 관리하고 활용해야 할지, 미래를 준비한다는 큰 틀 속에서 고민하고 추진해야한다”고 말했다.
우리 도는 만성 물 부족 지역으로 용수 80% 이상을 대청댐과 보령댐에서 의존하고 있고, 2031년이면 수요량이 공급량을 초과해 2035년이면 하루 약 18만 톤의 용수가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실제 보령댐은 기후변화 등으로 매년 가뭄이 발생고 있으며, 올해도 가뭄 관심단계가 발령돼 지난해 9월부터 금강 도수로를 가동, 하루 11만 5000톤의 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이에 김 지사는 정부가 기후대응댐 예정지 14개소를 후보지와 후보지(안)으로 분류 예정인 점을 설명하며 “도에서는 찬반 양측 주민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 충분한 협의와 논의를 거쳐 후보지로 최종 확정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주민의 일방적 피해만 강요했던 시대는 지났다. 환경부와 도에서 댐 건설지역에 대한 지원도 대폭 확대할 것”이라며 댐 건설 지역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도 약속했다.
댐 건설법 시행령 개정으로 국가지원이 330억 원에서 770억 원으로 증액됐고, 도에서 1000억 원을 추가 지원을 통해 군과 함께 산업단지 조성 및 앵커기업 유치 적극 지원, 수몰지역 주민들이 모여 살 수 있도록 이주단지 조성 지원 및 주민 생계를 위해 추가로 태양광, 스마트팜, 대토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축사 현대화, 스마트 축산단지 조성 등 깨끗하고 안정적인 축산 기반을 마련하고, 전망대와 출렁다리 등 관광 명소화 계획도 수립해 지원할 방침이다.
마지막으로 김 지사는 “반대측이 주장하는 상수원보호구역 지정, 숙박·음식업·공장설립 제한은 없고, 청양·부여에 부족한 생활·공업 용수도 우선 공급된다”며 “지역주민에게 피해만 주고, 이익은 타 시군이 가져간다는 주장은 맞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 “지천댐은 단순한 물 관리를 넘어, 충남 미래 100년을 책임질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라며 “지역발전을 이끄는 핵심사업이 될 수 있도록 도에서 제대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천 수계 댐은 청양군 장평면과 부여군 은산면 일원에 저수 용량 5900만㎥ 규모로 건립할 계획이며, 이는 예산 예당저수지(4700만㎥)나 논산 탑정저수지(3100만㎥)보다 조금 큰 용량으로 본격 가동 시 공급 가능한 용수는 하루 38만여 명이 사용할 수 있는 11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