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산단·충남대·과학영재학교 조성·설립 등 차질 없는 추진 약속
[충청뉴스 박영환 기자]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13일 홍성을 대한민국 신사업 핵심거점으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김태흠 지사는 이날 민선8기 4년차 시군 방문 두 번째 일정으로 홍성군을 찾아 언론인 간담회와 도민과의 대화 시간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미래 신산업 국가산단 조성 ▲충남대 내포캠퍼스 설립 ▲카이스트(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 캠퍼스 설립 ▲스마트농업 육성지구 등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먼저 미래 신산업 국가산단은 홍성군 홍북읍 일원에 52만 평 규모로 조성할 계획으로 △이차전지 ▲인공지능(AI) ▲수소산업 ▲미래 자동차 부품 등 신산업을 육성한다.
도는 지난해 10월 한국토지주택공사(LH), 충남개발공사와 협약을 맺고, 지난 5월 기획재정부에 예비 타당성 조사를 신청했으며 연내 예타가 완료되면 산단계획 승인 절차에 착수, 2028년 공사를 시작해 2030년 완공할 방침이다.
김 지사는 “홍성 국가산단은 대한민국 미래 50년, 100년을 책임질 신산업 핵심 거점으로 육성할 것”이라며 “조속한 추진을 위해 역량을 집중 투입하겠다”고 말했다.
충남대 내포캠퍼스는 2023년 도의 요청으로 국립학교설치령이 개정되고, 지난해 2월 충남대와 합의각서(MOA)를 체결하며 본궤도에 올랐다.
도는 지난해 말 교육부 대학 설립 심사 승인이 완료됨에 따라 내년 정부예산에 설계비를 담기 위해 노력 중이다.
한국과학영재학교 캠퍼스는 2028년 개교를 목표로 지난해 4월 KAIST와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타당성 용역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내년 정부예산 확보를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홍성 스마트농업 육성성지구는 서부면 광리와 갈산면 동산리 일원에 총 사업비 682억 원을 투입해 조성한다.
도는 오는 2027년까지 딸기·토마토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팜 생산시설과 공동 유통·물류 거점, 청년농 창업 인큐베이팅 시설 등을 조성, 지역 농업 구조 전환과 산업화 기반을 마련한다는 목표다.
김 지사는 "수도권 과밀화 문제를 해소를 하는 데 있어서 제일 관심이 있을 수밖에 없는 곳이 우리 충남이고 충남에서도 내포"라며 "(홍성의)미래를 밝게 보고 있고 자신감을 갖고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