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R&D 예산 폭거, 연구자 일자리 위협"
"尹 R&D 예산 폭거, 연구자 일자리 위협"
  • 김용우 기자
  • 승인 2025.09.22 14: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주 황정아 의원 "예산 삭감이 연구자 실직 문제 악화" 지적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대전 유성구을)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대전 유성구을)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지난 정부에서의 연구개발 (R&D)예산 삭감이 연구자 실직 문제를 악화시켰다는 통계가 나왔다. 특히 2030 신진 연구자에게 피해가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이 고용노동부로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자연·생명과학 연구직과 정보통신 연구개발직 및 공학기술직의 구직급여 신청자 수는 모두 2만 8092명으로, 전년 대비 30.6%가 급증했다.

자연·생명과학 연구직의 구직급여 신청자 수는 6331명으로, 전년 대비 25.6% 늘었다. 정보통신 연구개발직 및 공학기술직의 경우 2만 1761명으로 같은 기간 32.2% 상승했다.

올해 R&D 예산이 30조 원 가까이 회복되며, 실직자 증가 추이는 꺾였지만 그 여파가 아직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의 자연·생명과학 분야 구직급여 신청자 수는 3955명이다. 이를 12개월로 환산하면 올해 약 6780명의 실직자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7%로, 증가폭은 축소되었지만 추세를 반전시키지는 못했다.

국가 R&D 예산은 2023년 31조 1000억 원에서 지난해 26조 5000억 원으로 15% 가량 삭감됐다. 연구계에 따르면 그 여파는 대학 연구실을 중심으로 올해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특히 연령별로 보면 30대 이하 신진·청년 연구자를 중심으로 피해가 컸다. 지난해 자연·생명과학 분야 구직급여 신청자 중 30대 이하는 4662명으로 전체의 73%를 차지한다. 같은 기간 정보통신 분야는 1만 5283명으로 70%를 차지한다.

다만 새 정부가 내년도 R&D 예산을 역대 최대인 35조 3000억 원으로 설정하면서 연구자 실직 문제는 더욱 완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타격이 컸던 기초연구 부문도 올해 대비 17.2% 늘은 2조 7400억 원으로 예산이 잡혔다.

황정아 의원은 “근거 없던 윤석열 대통령의 R&D 예산 폭거가 현장 연구자들의 일자리와 생계를 직접적으로 위협했다”며 “과학기술 패권 시대의 핵심 동력인 이들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진상조사가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 충분한 재정적 뒷받침과 안정적인 연구 환경도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