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유규상 기자] 아산시(시장 오세현)는 18일 시청 브리핑실에서 ‘2025년 농업기술센터 시정 브리핑’을 열고, 올해 주요 농작물 작황과 내년도 농정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시정 브리핑에서 김 소장은 “올해는 봄철 이상저온, 여름 집중호우, 가을 일조 부족 등으로 작황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다행하게도 수확기에는 기상 회복과 태풍 피해가 없어 전반적으로 평년 수준을 유지했다”고 밝히면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아산 농업은 흔들림 없이 성장해왔다. 시민과 농업인이 함께 잘 사는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을 향해 앞으로도 변화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지난해 오랜 숙원사업이던 농협 미곡종합처리장(RPC) 통합을 마무리하고, 올해 3월 ‘아산시쌀조합공동사업법인’을 공식 출범시켰다. 이를 통해 쌀 생산·유통의 규모화를 추진하고, 농협 소유 건조저장시설(DSC)을 단계적으로 통합해 정부의 ‘1시군 1RPC’ 정책을 조기에 실현할 계획이다. 또한 원료곡 확보와 통합법인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시비 12억 원을 투입, 생산장려금을 지원하며 참여 농가 확대를 유도하고 있다.
아산시는 노동력과 생산비를 동시에 줄이는 직파 재배기술 보급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드론담수·무논·건답 등 다양한 재배 방식을 도입한 결과, 올해 직파재배 면적은 전년보다 48% 늘어난 600㏊로 전체 벼 재배면적의 7.3%를 차지한다. 시는 직파농법을 표준화하기 위해 정밀균평·드론파종 등 핵심 기술 보급에 12억 원을 투입하고, 2027년까지 824㏊(전체의 10%)로 확대할 계획이다.
시는 농촌의 고령화로 인한 일손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도 적극 활용 중이다. 올해 501명이 참여해 132농가에 배정됐으며, 내년에는 베트남 닌빈성과 라오스 등과 협력해 754명을 154농가에 배정할 예정이다. 시는 송출국 지자체와의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사전 교육과 현지 검증을 강화해 안정적인 인력 운영 모델을 구축할 방침이다.
김 소장은 “농업기술센터 5개 부서가 추진하는 1,300억 원 규모의 사업을 통해 농업인의 생산성과 소득을 높이고, 시민에게는 안전한 먹거리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겠다”며 “아산의 균형발전과 ‘지속가능한 농업, 행복한 농촌’을 향한 시정에 시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