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돈을 빼돌려 개인 부동산을 매입하고, 입학을 시켜주겠다며 수 천 만원을 받아 챙기는 등 소문으로만 돌던 비리사학들의 천태만상이 공개됐다.
감사원은 22일 전국 124곳의 사학들에 대해 실시한 감사 결과 비리사학 22곳의 관련자 48명을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검찰에 고발된 경북 모 대학 이사장의 경우 학교돈 10억원으로 개인 명의의 땅을 사고, 나머지 돈을 같은 학교 학장인 부인과 아들 명의의 개인계좌로 빼돌렸다.
이를 위해 학교 이사장은 학생들의 기숙사비 집행 잔액을 예결산 내역에 포함되지 않는 별도의 계좌로 관리하며 45억원을 조성했다.
각종 공사를 구실로 돈을 빼돌린 사학들도 드러났다.
모 대학은 캠퍼스 신축 공사비로 H건설사에 366억원을 지급했지만 감사 결과 공사비 안에는 실제로 시공하지도 않은 공사비 65억원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학교가 돈을 퍼 준 H건설사는 대학 설립자의 부인과 매제가 주주로 있는 회사였다.
사학 비리의 단골 메뉴인 편입학 관련 비리도 또 드러났다. 모 고등학교 입학상담실장은 응시생의 학부모로부터 2천만원을 받아 챙겼다가 이번에 적발됐다.
이사장이 자신과 특수관계에 있는 사람을 절차를 무시한 채 교직원으로 채용하거나 편입학 요건도 갖춰지지 않은 법인 임원 자녀를 합격 처리한 사례도 부지기수로 적발됐다.
이번 감사원 감사 결과, 적발된 사학들의 비리로 해당 학교들이 입게 된 손실액 등은 모두 953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여야가 이번 6월 임시국회에서 사학법 재개정을 두고 첨예한 대립을 보이는 가운데 감사원 발표 내용이 어떤 파장을 미칠지 주목된다.
이와 관련해 감사원 이창환 국장은 “감사 결과 객관적인 자료를 내놓았을 뿐”이라며, 감사 결과를 사학법 재개정을 둘러싼 논란과 연관짓는
것을 경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