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가 ‘세종시 행정수도 개헌론’에 찬물을 끼얹는 발언으로 충청권이 민심이 요동치는 등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이 총리는 지난 20일 국내 유력 통신사와 인터뷰에서 청와대와 국회를 세종시로 옮기는 수도 이전에 대해 “다수 국민이 동의를 해주지 않을 것 같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또 내년 추진될 예정인 개헌안에 수도 규정을 신설하는 것에 대해 “(수도는) 헌법재판소에서도 관습헌법이라고 했다”면서 “국민 마음속에 행정기능의 상당 부분이 세종으로 가는 것까지 용인하지만, 수도가 옮겨가는 걸 동의해줄까 의문”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 총리의 이 같은 인터뷰 발언이 알려지자 헌법상 행정수도 명문화를 기대했던 충청민심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충청지역 시민단체들은 ‘행정수도 개헌’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확산 시킨다며 이 총리의 사과를 촉구했다.
세종지역 200여 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행정수도 완성 세종시민대책위(상임대표 맹일관·최정수)는 21일 성명을 통해 “이 총리가 청와대와 국회를 세종시로 이전하는 것에 대해 다수의 국민이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고 단정적으로 표현한 것은 개헌 논의 과정과 여론을 왜곡하는 매우 부적절한 처사로 국민들에게 사과하는 것이 도리”라고 지적했다.

대책위는 또한 “향후 개헌 논의 과정에서 이 총리의 부적절한 표현으로 인해 ‘행정수도 개헌’이 왜곡될 수 있다”고 우려감을 나타내면서 “세종시 행정수도 개헌에 대해 전문가 집단의 압도적 찬성은 국민을 상대로 행정수도 개헌에 대한 홍보와 설명이 선행될 경우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다는 근거”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국회도서관이 지난 7월 20일부터 31일까지 국회휴먼네트워크에 등록된 전문가 3396명을 상대로 ‘헌법에 수도 규정을 신설해 청와대와 국회를 세종시로 이전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에 대해 응답자의 64.9%가 찬성의 뜻을 밝혔다. 반대의견은 35.1%에 불과해 약 2배 가까운 차이를 나타냈다. 1000명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는 49.9%의 찬성을 보여 반대(44.8%) 보다 앞선 바 있다.
세종시도 ‘이낙연 총리 발언’ 논란과 관련, 보도자료를 통해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대선때 ‘행정수도 완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며 “정부는 문 대통령의 행정수도 이전 공약을 한 치의 흔들림 없이 실현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시는 특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행정안전부를 세종시로 조속히 이전하고, 국회분원과 청와대 집무실 설치를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도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시는 이어 “정부는 ‘세종시=행정수도’ 개헌을 위해 국민적 공감대 형성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세종시도 정부와 함께 행정수도 건설을 위한 여론 형성에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시의회도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이낙연 국무총리가 개헌을 통해 청와대와 국회를 세종시로 옮기는 수도 이전에 대해 다수의 국민이 동의를 해 주지 않을 것 같다”고 밝힌 것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시의회는 이어 “세종시가 대한민국의 ‘실질적 행정수도’가 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총리실은 이날 충청권 반발 여론을 의식한 듯, 이 총리 발언에 대해 "민심의 동향을 말한 것이며, 수도 이전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표현한 것이 아니다"라는 공식입장을 표명했다.
하지만 ‘세종시 행정 수도론’에 대한 문재인 정부 입장이 혼선을 빚으면서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충청권 홀대론’과 맞물려 이 문제가 중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