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김장 9톤' 전달
현대제철, '김장 9톤' 전달
  • 최형순 기자
  • 승인 2020.11.24 16:55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년째 나눔 활동, 누계 84톤
김장 나눔도 방역 철저히

현대제철 당진제철소는 24일 관내 저소득층 가구와 자매 복지시설에 김장김치 9톤을 전달했다.

당진제철소는 코로나19 방역 차원에서 매년 해오던 직접 담그는 방식이 아닌, 김장김치 구매를 통해 전달하는 ‘비대면 사회 공헌활동’으로 준비했다. 특히 복지기관에서는 코로나19 때문에 김장나누기 마저 줄어들 것으로 우려하고 있어 비대면 방식으로라도 해야 했다고 전했다.

당진 김장사진 모음
당진 김장사진 모음

당진시종합복지타운에서 진행코자 했던 전달식도 집합 행사를 취소했다. 김홍장 시장에게 약식으로 전달했다.

김장김치는 31개 자매 복지시설과 저소득계층 110가구에 전달된다. 전달에도 방역을 고려했다. 자매 복지시설은 드라이브스루 형태로 김장김치를 전달했다. 저소득계층에는 복지시설 관계자가 집 앞까지 직접 배송한다.

행복나눔 김장나누기 행사 모습
행복나눔 김장나누기 행사 모습

당진제철소장 박종성 부사장은 전달식에서 “김장 나누기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이웃과 함께할 수 있는 시간이 10년이나 됐다”며, “좋은 일, 의미 있는 행사는 더 크고 장기적으로 유치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당진시 김홍장 시장은 “코로나19로 시민 모두가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는 가운데 현대제철이 지역 사회에 따듯한 바람을 불어넣고 있다”며, “앞으로도 코로나19 방역과 지역사회 이웃 사랑 실천에 앞장 서 달라”라고 감사와 당부의 말을 전했다.

2011년 시작한 ‘행복 나눔 김장 담그기’가 올해로 10년째 이어졌다. 김장 나눔 활동은 당진제철소 대표 사회 공헌활동으로 자리 잡았다.

행복나눔 김장나누기 행사 모습
행복나눔 김장나누기 행사 모습

첫 김장 나눔 활동은 2011년 1000포기의 배추를 수확하고 절이고 양념까지 만들어 직접 담그는 것으로 시작했다. 지난 10년간 임직원 1,360여명이 참여해 총 84톤의 김치를 전달했다. 건강하고 맛있는 김장김치를 전달하기 위해 김장에 투입되는 모든 재료는 국내산을 사용했다.

노인복지시설 관계자는 “매년 현대제철 김장김치로 시설 어르신과 직원들을 위한 행복한 밥상을 차리고 있다”며, “복지시설 사이에서 현대제철은 김장김치 맛집으로 매년 김치를 손꼽아 기다린다”며 소감을 말했다.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직원 봉사자가 당진종합복지타운 광장에서 김장김치를 복지시설 차량에 싣어주고 있다.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직원 봉사자가 당진종합복지타운 광장에서 김장김치를 복지시설 차량에 싣어주고 있다.

김장 봉사에는 직원 배우자로 구성된 마중물 주부봉사단이 주도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김장이 서툰 직원들에게 주부들의 손맛을 전하며 활동을 이끌어 갔다. 그밖에도 이웃사랑 나눔회, 어울림 등 회사 내 봉사단과 인근마을 주민, 당진 사회단체, 복지단체, 방송사 등 다양한 참여를 통해 ‘나눔 문화’를 확산시켜 왔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윤진한 2020-11-24 18:03:04
유교문화권의 24절기인 소설(小雪). 양력 2020년 11월 22일(음력 10월 8일)은 소설입니다. 태음태양력의 겨울은 입동이후 소설.대설.동지.소한.대한까지를 겨울로 봅니다.유교 경전 예기는 겨울철인 음력 10월, 11월에 저장하고 쌓아두는것(收藏, 積聚)을 중요하게 언급하는데, 중국은 벼를 저장하면서 술도 만들게 되고, 한국은 수확한 채소나 과일로 김치(김장), 곶감, 무말랭이, 호박오고리등 저장식품을 만드는 전통이 생겨난것으로 판단됩니다. 입동(立冬)에 마치지 못한 김장을 지속하는 시기로, 겨울에 먹을 곡식과 반찬을 대대적으로 저장해두는 절기입니다.

http://blog.daum.net/macmaca/3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