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국토교통부와 공동으로 추진 중인 행정중심복합도시 2단계 건설사업 평가 및 향후 발전방향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를 15일개최했다.
올해는 행복도시 건설사업 2단계(’16~‘20)가 마무리되는 시기로, 행복청과 국토부는 그 간의 도시조성 과정에 대한 진단과 대내·외 여건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향후 도시발전방향을 마련했으며, 외부 전문가 자문을 통해 연구 결과의 완성도를 높였다.
연구 결과, 행복도시 건설사업 2단계는 행정안전부 등 국가행정기능의 추가 이전에 따른 국가행정기능의 안착과 주택 12만호 공급, 공원‧의료‧복지‧학교 등의 도시기반시설 확충과 정주여건 개선을 통해 인구 35만명(행복도시 26만, ‘20.10월 기준)의 행정중심도시로 성장했다고 평가됐다.
반면, 향후 건설단계에서 개선되어야 할 과제로는, 국회와의 원거리로 인한 행정 비효율 문제, 도시자족기능의 부족, 대중교통 불편, 주변지역 상생문제 등을 제시했다.
아울러 2030 행복도시 완성을 위한 건설사업 3단계 발전방향으로 4대 핵심목표를 제안했으며 주요 내용은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국가 거점기능 강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도시성장기반 구축 ▲도시 완성을 위한 디지털-그린 인프라 고도화 ▲주변지역 상생발전을 위한 동반성장기반 구축 등이다.
행복청은 최종보고회에서 도출된 의견들을 수정·보완하여 연내 연구용역을 마무리하고, 연구용역에서 제안된 발전전략은 행복도시 3단계 건설사업에 적극 반영·추진할 계획이다.
행복청 김용석 차장은 “행복도시는 앞으로 행정도시를 넘어 복합형 자족도시로 성장하고, 혁신역량을 주변지역과 연계함으로써 국가균형발전과 광역 상생발전을 선도하는 세계적인 모범도시로 도약할 것”이라며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내년에는 2006년에 수립된 행복도시 건설기본계획을 정비하는 등 미래 행정중심복합도시 완성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