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8일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 1단 인증모델 추진기관 종합연소시험을 진행했다,
이번 시험은 누리호 1단 인증모델을 사용해서 실제 발사 때와 똑같은 자동 발사소프트웨어 명령에 따라 1단 추진제 탱크에서 연료와 산화제가 클러스터링 된 75톤급 액체엔진 4기로 정상적으로 공급되어 정상적인 연소가 진행되고 통제되는지를 확인하는 추진기관 종합연소시험으로 30초간 진행되었다.
그 동안 75톤급 액체엔진에 대한 연소시험은 올 1월을 기준으로 모두 174회에 걸쳐 17,290초의 누적 연소시간을 기록했으나 엔진 4기를 클러스터링 한 상태에서 연소시험은 이번이 처음 진행된 것이다.
누리호1단에는 75톤급 액체엔진 4기가 사용되어 총 300톤의 추력을 내도록 되어 있다. 엔진 클러스터링은 1단에 사용되는 4기의 엔진이 마치 1기의 엔진이 작동하듯이 성능을 내야하고 통제되어야 한다. 4기의 엔진 중 1기라도 연소에 문제가 있어 원하는 추력을 내지 못하면 발사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와 산화제를 똑같은 요구 조건에서 정상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는 것도 어렵고 엔진의 주요 구성품인 터보펌프를 비롯해 배관, 연소기 등 각종 구성품은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 그리고 4기의 엔진이 동시에 점화되어 화염을 내뿜을 때 서로 간섭이나 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엔진의 수평과 균형을 유지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결국 4기의 엔진을 하나의 엔진처럼 작동하게 하는 것이 엔진 클러스터링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연소시험으로 추진제 탱크에서부터 엔진 시스템 까지의 모든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와 위험성은 없는지를 확인하였으며, 오는 2월에는 100초 연소시험을 통해 엔진의 내구성을 테스트하고 3월에는 1단의 추진제를 모두 소진하는(약127초) 연소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다.
누리호는 올 10월 위성모사체를 싣고 1차 발사할 예정이며, 내년 5월에는 무게 200kg의 성능검증위성을 싣고 발사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