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춘희 세종시장은 1일 온라인 브리핑을 통해 "공동주택 공시가격 하향 의견을 지난 26일 한국부동산원과 국토교통부에 각각 제출하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주택가격 급등은 정부기관 세종 이전과 인구 유입을 저해하는 등 행정수도 완성에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시는 앞으로 택지공급 시기를 앞당기는 등 집값 안정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마련,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3월15일 국토부 발표에 따르면 올해 세종시는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70.68% 오르고, 중위가격이 4억 2,300만원에 이르는 등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하였다.
국회 세종의사당 설치 추진 등에 따른 공동주택 매매가의 상승을 반영했다고 하지만 2·3위를 기록한 경기도 및 대전시 등과 비교해 훨씬 높게 오른 수치이며,
* 전국 평균 19.08%, 세종 70.68%, 경기 23.96%, 대전 20.57%, 서울 19.91% 순
지난해 우리시 전체 주택가격 상승률 37.5%에 비해서도 공시가격 상승률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관련 세종시내 다수의 아파트단지에서 집단으로 이의 신청을 준비하는 등 많은 시민들이 보유세 급증에 대한 불안과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아파트마다 실거래 가격의 편차가 심할 뿐 아니라 신규 주택은 거래량 자체가 적은 만큼, 꼼꼼하게 살펴 공시 가격을 산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국토부는 공동주택 공시가격(안)에 대해 오는 5일까지 의견제출 기간을 운영하고, 이달 29일 결정 공시할 예정이다.
이의신청은 국토부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나 한국부동산원에 직접 제출할 수 있으며, 시민들의 편의를 위해 주민센터에서도 접수가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