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연, 딥러닝 통한 우리은하 주변 암흑물질 지도 공개
천문연, 딥러닝 통한 우리은하 주변 암흑물질 지도 공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1.05.27 10: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공지능으로 예측한 우리은하 주변 1억 광년 내의 3차원 암흑물질 분포와 운동 방향
인공지능으로 예측한 우리은하 주변 1억 광년 내의 3차원 암흑물질 분포와 운동 방향

한국천문연구원이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기존보다 3배 이상 정밀한 우리은하 주변 암흑물질 분포 지도를 공개했다.

천문연 홍성욱 박사가 주도한 국제 공동 연구진은 약 1900개의 외부 은하 정보에 딥러닝 기술을 적용해 우리은하로부터 1억 광년 내에 펼쳐져 있는 암흑물질의 밀도 분포를 예측했다.

이번 결과를 통해 약 3백만 광년의 해상도를 가진 우리은하 주변 우주 거대 구조의 상세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진은 인공지능 모형을 학습시키기 위해 ‘일러스트리스-TNG (Illustris-TNG)’라는 대규모 우주 거대 구조를 모사한 시뮬레이션을 활용했다.

이를 통해 학습한 암흑물질 예측 모형은 은하 간 실가닥(filament) 구조를 매우 자세하게 재구성했다.

학습된 암흑물질 예측 모형의 성능 확인을 위해 실제 우리은하 주변 1억 광년 내에 존재하는 은하 정보를 적용한 결과 우리은하가 포함된 국부 은하군과 처녀자리 은하단 등 기존에 알려진 은하 집단과 은하들을 연결하는 실가닥 구조가 잘 재현됨을 확인했다.

홍성욱 박사는 “차세대 첨단 천문관측 장비들이 가동되면 이제껏 발견되지 못한 새로운 은하들이 지속적으로 은하 목록에 추가될 것”이라며 “암흑물질 예측 모형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에 활용된 딥러닝 기술을 통해 향후 우리은하 주변뿐 아니라 더 확장된 우주 거대 구조에 대한 상세 지도를 얻는다면 이는 궁극적으로 현대 천문학의 난제인 암흑물질의 정체를 밝힐 결정적 단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