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이 광주시와 울산시, 강원도와 12일 ‘초광역 국가 고자기장 연구인프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KBSI와 3개 지자체가 고자기장 연구개발 기반마련, 연관 산업 육성, 그리고 지역 균형발전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는 협력체제 구축에 나선 것이다.
그동안 3개 지자체는 지역별 특화산업에 맞춰 분야(강원도 의료생명, 울산 에너지, 광주 신소재)별로 고자기장 연구인프라의 성공적 구축을 위해 공동 협력해왔다.
또 각 지자체와 KBSI는 지난 6월부터 ‘초광역 고자기장 연구인프라 구축 및 활용에 대한 기획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번 기획연구에서 국가적 고자기장 연구 인프라 구축‧활용 및 관련 응용분야개발을 위한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으로 KBSI는 국가적 고자기장 연구 인프라 기반 마련을 위한 연구지원, 광주광역시는 신소재 중심, 울산광역시는 에너지 중심, 그리고 강원도는 의생명 중심의 고자기장 연구기반 시설 구축 및 운영을 계획하고 있다.
방사광가속기와 함께 물질과학 연구분야의 핵심 거대 연구시설인 고자기장 연구인프라 활용연구는 물성연구 뿐만 아니라 생물학, 화학, 지구과학, 에너지, 생명과학 등 다양한 과학, 산업 분야에 폭넓게 활용되는 기초과학 첨단분야이다.
고자기장을 활용한 유망한 연관산업으로는 초전도 모터(회전기), 에너지 저장장치(ESS), 자기공명영상장치(MRI), 고자기장 연구장비 산업 등이 있으며, 관련 응용산업들은 하이퍼루프, 전기차, 신약·백신·항생제 개발 등 소재 및 전력, 의생명, 에너지 분야 등 다양하다.
아울러 환경규제에 따른 청정 에너지원 개발, 에너지효율 극대화, 탄소배출 저감 등 연구에도 선진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국가적 고자기장 연구시설이 구축되어 이를 활용한 선도형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선진국들은 이러한 연구 인프라를 적극 활용해 기초과학분야의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혁신적인 제품과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 국가경제에 기여하고 있다.
신형식 원장은 “KBSI는 첨단 대형연구시설 중심 기관으로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고자기장 연구 인프라 기반 마련에 힘을 보탤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