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4D 레이더 인공지능 기술 개발...악천후에도 자율주행
KAIST, 4D 레이더 인공지능 기술 개발...악천후에도 자율주행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10.20 1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레이더 구축을 위한 자율주행 센서 수트
K-레이더 구축을 위한 자율주행 센서 수트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악천후에서도 자율주행을 가능케하는 4D 레이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공승현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악천후에도 자율주행이 가능한 4D 레이더 주변 객체 인지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자율주행 자동차는 주로 카메라와 라이다(LiDAR)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와 포인트 클라우드(Pointcloud) 데이터를 적절한 인공지능 신경망으로 처리해 자동차 주변의 객체들을 인식하는 방식으로 구현돼 있다.

그러나 카메라와 라이다는 각각 가시광선과 적외선을 사용하므로 눈비 또는 안개 상황에서 측정 성능이 크게 떨어지는데 이로 인해 주변 객체들에 대한 인식이 어려워져 안전한 자율주행이 불가능하다.

더구나 차내에 설치할 수 있는 카메라와 달리 자동차의 지붕에 설치하는 라이다는 외부 환경에 노출돼 있어서 그 표면에 눈비 또는 흙먼지가 묻는 경우 라이다를 이용한 전방 탐지가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4D 레이더에 인공지능을 이용한 주변 인지 기술 연구가 시작되고 있지만 4D 레이더에 필요한 인공지능 연구는 매우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카메라나 라이다와 달리, 고성능 인공지능 개발에 필수적인 충분한 데이터셋이 구축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이 공개한 KAIST-레이더(이하 K-레이더)는 악천후를 포함한 다양한 날씨 및 교통 상황에서 수집된 다양성 높은 데이터셋으로 정확히 동기된 카메라와 라이다 측정 데이터와 함께 구축된 13테라바이트(TB)에 이르는 대용량으로 세계 최초의 4D 레이더 데이터셋이다.

특히 포인트 클라우드 형태가 아닌 인공지능 신경망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텐서(Tensor) 형태의 데이터셋으로 이는 일반적인 레이더의 잡음 제거 방식을 사용하지 않아 잡음 수준의 미약한 미세 측정치를 온전히 담고 있는 형태다.

연구팀이 개발한 4D 레이더 인공지능 신경망(RTN4D)은 K-레이더로 수많은 학습을 진행했고 그 결과 다양한 날씨와 도로 상황에서 70m 이내의 객체에 대해 객체 판별, 위치 추정 및 주행 방향 추정의 3가지 추정을 정확히 수행하는 경우가 최종 62.5%인 세계 최고의 성능을 보였다.

공승현 교수는 “이번에 공개한 K-레이더와 4D 레이더 인공지능 개발 플랫폼 및 벤치마크를 통해 향후 4D 레이더에 관한 인공지능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ˮ고 했다.

한편 연구팀은 구축된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셋인 KAIST-레이더와 개발된 인공지능 신경망(RTN4D) 그리고 전 세계 연구자를 위한 4D 레이더 인공지능 개발 플랫폼(Platform)과 관련 벤치마크(Benchmark)를 모두 공개할 계획이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