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승욱 부지사, “쌀값 안정화 위한 특단의 조치 있어야”
허승욱 부지사, “쌀값 안정화 위한 특단의 조치 있어야”
  • 김거수 기자
  • 승인 2016.12.13 14: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7년 쌀생산 조정목표 면적 상향조정 등 대정부 건의

충남도가 쌀값 하락 문제에 대한 해법으로 내년도 쌀 생산량 감축목표 상향 설정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특단의 쌀값 정상화 대책을 정부에 요청하고 나섰다.

허승욱 충남도 정무부시자

13일 도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의 2017년 쌀생산 조정 목표면적은 3만 5000㏊로 도내 조정면적은 6200㏊에 해당한다.

농식품부의 계획대로 3만 5000㏊를 감축할 경우 내년 전국 쌀 생산량은 401만 톤으로, 2018년 예상수요량(385만 톤)보다 16만 톤 과잉 생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매년 수입되는 의무수입물량 40만 9000톤까지 감안하면 3만 5000㏊ 감축으로는 쌀값 정상화에 못 미칠 것으로 도는 분석하고 있다.

이에 도는 전국적인 쌀 생산 감축목표를 7만㏊로 상향 조정할 것을 농식품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전국 쌀 생산 감축목표를 7만㏊로 높여 잡으면 2018년 예상수요량보다 2만 8000톤이 적게 생산돼 산지 쌀값이 80㎏당 16만 5000원 이상으로 형성될 것이라는 게 도의 분석이다.

산지 쌀값이 16만 5000원을 회복할 경우 변동직불금은 80㎏당 3683원, ㏊당 23만 2000원 수준으로 책정돼 전국적으로 1조 3246억 원의 예산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과잉 생산된 쌀에 대한 재고관리 비용(1194억 원)도 줄게 돼 전체적으로 1조 4440억 원의 경제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도는 예산절감액의 일부를 쌀 생산 감축 목표달성 시·도에 대해 자율사업으로 편성해 인센티브로 지원할 경우 자율적 감축면적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 도는 농식품부가 시도별로 감축 목표를 면적으로 배정하는 기존의 방식 대신 시·도별 감축 생산량을 배정하는 방식으로 전환해 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이 경우 쌀 생산량 조정에 가장 효과적인 재배면적 감소는 물론, 다수확 품종의 고품질 품종으로 대체 등 생산량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는 이 같은 대정부 건의와 별도로 타 작물 재배를 통한 적정 생산 및 고품질 대표품종 육성 등 강화된 쌀값 안정대책을 추진한다.

우선 도내 조정면적인 6200㏊에 조사료, 총체벼 등 타 작물 재배를 통해 생산량을 3만 5000톤 가량 줄인다는 목표다.

허승욱 도 정무부지사는 “쌀값하락 문제는 공급과 소비의 불균형에서 초래된 것으로 단편적 해법으로는 사태 해결에 한계가 있다”라며 “보다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많은 의견을 청취·토론하고, 관련 정책 개선을 정부에 건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