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대응 녹색산업의 녹색복원분야 인재 육성의 산실로 자리매김
[충청뉴스 유규상 기자] 상명대학교(총장: 김종희)가 환경부와 고용노동부가 공동 추진하는 ‘2025 환경분야 특성화 선도대학 육성사업’에 최종 선정되었다.
이에 따라 앞으로 3년간 연간 약 5억 원씩 총 15억 원의 국고를 지원받아 학제 간 융합 연구, 현장 밀착형 교육,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을 선도할 '그린인프라 산업 녹색복원분야' 인재 육성의 산실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이번 사업은 주관학과인 융합기술대학 그린스마트시티학과를 중심으로 공과대학 소속의 경영공학과, 그린화학공학과, 건설시스템공학과, 정보보안공학과가 참여하는 다학제적 융합 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며, 친환경 미래사회를 선도할 '녹색복원분야'는 탄소중립도시, 도시생태복원, 산업단지복원, 도시재생, 도시녹화, ESG 경영 등의 전문 영역을 포괄한다.
상명대학교는 정규 및 비교과 과정, 인재 유형 프로젝트를 통해 탄소중립 경제체계와 연동 가능한 ESG 그린인프라 부문 기술 고도화 및 교육 인프라를 구축할 방침이다. 특히 생성형 AI 기반 신속 문제해결 역량, CCS(기후변화 시뮬레이션) 기반 데이터 중심 계획 및 설계 역량, ESG 정보공시 연계 KPI 가치설계 역량을 갖춘 녹색복원분야의 핵심 인재를 양성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상명대학교 그린스마트시티학과는 2020년부터 2025년까지 총 50억 원 규모의 녹색융합기술 특성화대학원 지원사업에 선정된 바 있다.
사업책임자인 그린스마트시티학과 김태한 교수는 “AGI(범용 인공지능) 시대 도래로 기후 정책 및 대응 전문성 역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고 진단하며, “우리 사업단의 교육 목표는 단순 지식 전달을 넘어선 '대체 불가능한 다학제적 T자형 인재' 양성에 있다”고 강조했다.
또 “본 사업을 통해 그린인프라 부문의 깊이 있는 전문 역량을 기반으로 AGI 기술을 이해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NbS(자연기반해법) 전문가로서 타 분야와의 유연한 협업 역량을 갖춘 인재를 배출할 것”이라며, “우리 대학만이 제공할 수 있는 경험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의 혁신을 지속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