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硏,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셀비온에 기술 이전
원자력硏,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셀비온에 기술 이전
  • 김용우 기자
  • 승인 2017.12.26 17: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간, 신장 등 장기 기능 및 암 진단용 방사성의약품의 안정적 생산 기대

진단용 방사성의약품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국책연구기관이 민간 기업과 손을 잡았다.

(좌) 임인철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과학연구소장, (우) 김권 ㈜셀비온 대표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하재주)은 ㈜셀비온(대표 김권)에 진단용 방사성의약품(Tc-99m) 콜드키트 3종 품목 허가를 양도하고 상용생산기술을 이전하는 기술실시계약을 26일 연구원에서 체결했다.

진단용 방사성의약품(Tc-99m) 콜드키트는 방사성동위원소인 Tc-99m 용액과 혼합하여 체내에 주사함으로써 장기의 기능을 진단할 수 있는 의약품이다.

이번 기술실시계약에는 간 기능 진단 의약품인 메브로페닌(Mebrofenin), 신장 기능 진단용인 디메르캅토호박산(DMSA), 뼈에 전이된 암을 진단할 수 있는 메드로닉엑시드(MDP)에 대한 품목 허가와 함께 본 의약품의 차질 없는 공급을 위한 생산 기술이 포함됐다.

이 의약품들은 수요와 매출액은 적으나 환자 치료에 꼭 필요한 희귀 방사성의약품으로 방사성동위원소 생산시설을 갖춘 원자력연구원에서 생산, 공급해왔다.

원자력연구원은 최근 법령 개정으로 방사성의약품에도 ‘의약품 제조 및 품질 관리기준(GMP)’이 적용됨에 따라 방사성의약품은 연구원에서 계속 생산하되,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콜드키트는 GMP를 만족하는 전문기업인 ㈜셀비온에 품목 허가를 양도함으로써 필수 방사성의약품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체계를 정비한다는 방침이다.

진단용 방사성의약품(Tc-99m) 콜드키트

연구원은 셀비온이 해당 의약품들을 원활하게 생산할 수 있도록 계속 지원할 예정이다.

㈜셀비온은 서울대학병원 등 국내 유수의 대학병원과 함께 혁신적인 진단 조영제 신약 등을 개발·생산하고 있으며, 최근 식약처로부터 주사제 GMP를 승인받았다.

이에 따라 이번 기술이전 품목을 안정적으로 생산해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날 하재주 원장은 “이번 기술이전으로 메브로페닌 등이 보다 더 안정적으로 생산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연구원은 연구용원자로 하나로(HANARO)와 동위원소 이용 연구시설 등에서 생산하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해, 희귀 질병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을 위한 의약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