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기상청이 실시한 3,658개 기상관측시설에 대한 표준화 등급평가결과, 20%만이 위치를 재설정할 필요가 없는 우수이상의 평가를 받았고, 나머지 80%는 위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환경노동위 소속 권선택의원에 따르면 전국에는 29개 공공기관에서 각 기관의 목적에 따라 기상관측장비를 설치·관리하고 있고, 기상청, 환경부 등 각 기관들은 상호간 기상자료를 공유하고 있다.
기상청과 환경청의 기상관측시설 등급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지만, 기상청의 온도, 습도, 강수량 등 기본 기상자료를 측정하는 자동기상관측장비(AWS) 542대 가운데 352개(64.9%)가 건물옥상에 설치되어 있었다고 지적했다..
권의원에 따르면 이는 세계기상기구(WMO)는 AWS를 지면에 설치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고, 우리나라 ‘기상요소별 기상관측환경에 관한 기준’에도 지상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는데, 이를 지키지 않은 것이라고 질타했다..
기상청 업무 담당자는 건물 옥상이나 지상에 설치하는 것이 차이가 없다고 이야기하지만 그러나 기상전문가들은 같은 지역이라도 지면과 옥상위에 설치된 AWS에서 추출하는 기상자료가 당연히 다를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면서 가능한 정확한 기상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지상에 설치하는 것이 옳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복되어 있는 기상관측장비도 문제임. 검토된 3,658개 가운데 100m 이내 중복돼 있는 장비가 240개, 1km이내 중복돼 있는 장비가 399개로 639개(17.5%)가 매우 비효율적으로 설치되어 위치 재조정이 필요하고 지적했다.
기상관측장비를 설치할 때 기관간 중복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시스템이 필요함. 또한 현재 중복되어 있는 기상관측장비도 서둘러 재정비해야 한다고 주문, 특히 등급평가 자료를 보면, 지자체의 경우 전문가 의견없이 기상장비를 설치한 곳이 많아 부산, 인천, 대전, 광주, 경남, 경북, 전남, 전북, 충남지역의 기상관측장비의 경우 우수이상이 단 한 곳도 없었다고 질책했다.
지난 국무회의에서 제출된 「기상예보 정확도 제고를 위한 대책」을 보면, 개선방안에 대해 수치예보모델 성능 향상, 3차원 입체 관측망 확보, 예보관 역량 향상을 위한 예보관 채용 문호 개방과 인센티브제 도입, 민간부문의 서비스 역할 증대, 동네예보, 기상콜센터 등 예산을 수반하는 사업 위주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개선방향도 중요하지만, 기상관측장비 표준화사업이 빠진 것은 매우 아쉬움. 정확한 기초자료에서 정확한 기상예측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현재 보유하고 있는 기상관측장비의 표준화작업을 우선적으로 진행해야한다고 강력히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