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승래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이 정치권 여야 협의체를 공식 제안했다.

이는 최근 정의당의 ‘여야정 협의체 구성’ 제안에 대한 긍정적 의미를 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여야정 협의체 구성 전 정치권이 한 자리에 모여 향후 운영 방안 등을 충분히 논의하자는 게 조 위원장의 설명이다.
조 위원장은 15일 시당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갖고 “현재 대전시의회에 한국당을 제외하고는 다른 정파가 들어오지 못했다”면서 “시정을 펴나가는 데 있어 다양한 정치적 목소리가 시정에 반영되지 못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여야정 협의체에 대한 논의는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여야 정당 시당위원장에게 회동 갖자고 이 자리에서 제안한다”며 “정치권에서 먼저 정리한 후 (여야정 협의체를) 논의하는 것이 낫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특히 주요 정당과의 여야 협의체를 통해 여야정 협의체 구성 방법, 운영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공문 발송 등의 행동도 추가적으로 진행할 것을 약속하면서 여야 시당위원장 간 회동이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조 위원장은 여야정 협의체에 대한 부작용도 우려했다.
그는 “총선을 앞둔 상황에서 여야정 협의체가 정쟁의 장이 되지 않을지 걱정된다”며 “이를 허태정 시장과 대화하기도 했다. 허 시장도 긍정적·부정적 요소를 고민하고 있다”고 속내를 밝혔다.

이에 앞서 조 위원장은 이날 오전 허태정 대전시장과 김종천 대전시의회 의장과 각각 간담회를 갖고 시정 주요 현안 및 예산 정책 등을 협의했다.
허 시장은 국회나 당 차원에서 지원이 필요한 시정 중요 사안에 대한 긴밀한 협조를 조 위원장에게 요청했다. 아울러 당정 간 긴밀한 협조와 상시적인 논의를 약속했다.

이어 조 위원장은 김종천 의장에게 상임위별 당정협의와 의원연구 모임 활성화 등을 제안했고, 김 의장은 당과 시의회 간 긴밀한 현안 협조를 당부했다.
조승래 대전시당 위원장은 이후 정례 당정협의회를 비롯해 앞으로 시당위원장과 시장, 시의장 간 정례적으로 만나 시정 주요 현안에 대해 논의키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