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세종시 세계 최고 스마트시티로 조성
문재인 대통령, 세종시 세계 최고 스마트시티로 조성
  • 최형순 기자
  • 승인 2019.02.13 22:48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명실상부한 행정중심 도시로 성장 스마트도시로써 최적의 입지조건 갖춰

문재인 대통령은 13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스마트시티 혁신전략 보고회'에 참석 부산시와 세종시를 세계에서 가장 앞서나가는 스마트시티로 조성하기 위해 관계부처, 민간 기업, 각계 전문가들이 역량을 결집해달라"고 당부했다.

'스마트시티 혁신전략 보고회'

그러면서 "명실상부한 행정중심 도시로 성장하고 있는 세종시의 혁신성·포용성도 스마트도시로써 최적의 입지조건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스마트시티란 네트워크와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도시의 공공기능 시설이나 편의시설 등에 적용한 미래형 도시를 말한다. 정부는 지난해 부산 에코델타시티와 세종 5-1 생활권을 시범도시로 지정했다.

세종 5-1 생활권은 인공지능(AI)·데이터·블록체인 기반으로 시민의 일상을 바꾸는 스마트시티 조성을 목표로, 모빌리티·헬스케어·에너지 등 7대 서비스 구현에 최적화된 공간계획을 마련하였다.

7대서비스는 ①모빌리티, ②헬스케어, ③교육, ④에너지·환경, ⑤거버넌스, ⑥문화·쇼핑, ⑦일자리 등이다.

특히 최적화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시 공간구조부터 새롭게 계획하여, 자율주행·공유 기반의 첨단교통수단 전용도로와 개인소유차량 진입제한 구역 등이 실현될 예정이다. 예컨대, 자율차 전용도로 구역(링 형태) 안에서는 개인소유차의 통행·주차를 제한하고 자율 셔틀과 공유차 이용을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퍼스널 모빌리티에 최적화된 도로설계, 스마트 횡단보도나 스쿨존 안전서비스 등 보행자를 위한 요소도 공간구상에 반영하고 도시 내 개인소유 자동차 수를 1/3 수준으로 점차 감소시켜, 자동차 중심이 아닌 사람 중심의 걷기 좋은 도시를 만들 계획이다.

세종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선제적이고(예방) 신속하게(응급) 지켜나기 위한 ‘헬스케어’도 핵심 서비스로 제공된다.

응급상황 발생시 스마트 호출과 응급용 드론 활용, 응급센터까지 최적경로 안내, 화상연결을 통한 환자정보 전달(응급차-병원) 등으로 골든타임을 확보하고 환자 생존율을 높여 나가며, 개별 병원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축적된 개인 건강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의료, 환자 상태(위치, 질병종류, 대기시간 등)에 따른 최적병원 연계로 편리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도시 전체가 확장된 병원으로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외에도 세종은 혁신요소별로 수집되는 개인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블록체인이 서비스 전반에 접목되며, 인공지능(AI)으로 도시를 운영하는 세계 최초 스마트시티를 목표로 조성된다.

이날 보고회는 김현미 국토부 장관,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오거돈 부산시장, 이춘희 세종시장, 장병규 4차산업위원장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rlatnals 2019-02-14 00:55:48
사랑합니다...문재인대통령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