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이정미 의원, 노조 파업 배경 확인
국립생태원 용역근로자들의 정규직 전환에 따른 근로자들의 파업문제가 지역사회에 이어 국회에서도 관심을 가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난 2일 서천군농민회, 민주노총서천군위원회, 서천사랑시민모임 등 지역 시민사회단체는 ‘서천 국립생태원 해결 촉구 서천시민단체 대책회의(이하 대책회의)’를 구성하고 기자회견을 통해 ‘서천생태원 노동자들의 투쟁을 적극 지지하며, 이들의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끝까지 연대할 것이다’고 밝혔다.
대책회의는 ‘환경부는 서천군민들의 눈물을 이용해 자기들이 필요한 시설을 서천에 지은 것일 뿐, 서천군을 살기 좋게 만들겠다는 뜻은 추호도 없었으며, 정작 이들은 군장국가공단 대안사업의 의미를 걷어찬 것이다’고 밝혔다.
특히 ‘그나마 서천군민이 취업할 수 있는 분야를 비정규직 용역으로 운영해오다가, 지난해 7월에서야 정규직 전환을 했지만, 임금과 노동조건이 악화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을 만들었다’면서 ‘이를 시정 요구하는 노동자들의 정당한 노동활동도 인정하지 않고 임금을 주지 않으며, 노동탄압까지 자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생태원의 행태는 노동자들 뿐만 아니라, 서천군민들을 무시하는 처사로 더 이상 좌시하지 않을 것이다’면서 ‘생태원은 문재인 정부의 직고용 전환 지침을 준수하여 처우를 개선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국립생태원 정규직 전환에 대한 문제는 국회로도 전파됐다.
생태원 노조는 이날 대책회의 기자회견에 이어 3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직고용 이후의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해결 방안을 촉구했다.
또, 같은 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정의당 이정미 당대표실에서는 생태원 관계자들과 면담을 갖고 ‘노조 파업 배경’ 등에 대해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7일 이정미 의원실 관계자는 “정부의 정규직 전환과 관련 국립생태원 근로자들의 경우 임금이 줄고 노동시간이 늘어났다”면서 “현재 정규직 전환 이후 국립생태원과 같은 일들이 발생하고 있는지 함께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4월 2일 파업에 돌입한 민주노총 세종충남지역노동조합 서천국립생태원지회는 ‘정규직 전환 이후 삭감된 임금과 근로환경 개선’을 촉구해 왔다.
지난 2일 기준 국립생태원 노조는 전면파업 7일 등 11일차 파업을 맞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