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조작 작물의 폐해를 지적하고 충청남도 토종씨앗 복원센터를 설치해 토종씨앗을 미래 수출 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충남도의회 교육위원회 김영수 의원(서산2)이 8일 열린 제311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멸종위기에 처한 토종씨앗의 보존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충남도 차원에서 토종 씨앗 사업을 주도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영수 의원은 “종자 회사들은 최대한의 이익을 내야 하므로, 종자를 최대한 많이, 지속적으로 팔았으며 농민들 또한 수확량이 많고 병해충에도 강한 신품종을 심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우리의 토종씨앗들이 사라지게 되었다”며 안타까움을 토로했다.
이어, “종자 기업들은 수확량 증대를 위해 유전자를 변형시킨 유전자 조작 작물(GMO)을 개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유전자 조작 작물은 다음해에 농사를 위한 종자를 사용할 수 없다”며 “이제 우리 농민들은 생존을 위해 매년 씨앗을 사서 심어야 농사가 가능하게 되었고, 종자 기업들의 시장 독점으로 씨앗의 가격 또한 천정부지로 상승하고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이어, “종자 주권과 식량 주권을 되찾기 위해 토종 씨앗을 보존하려는 민간차원의 노력이 꾸준히 이어져왔지만, 자본이나 기술력이 영세해 역부족”이라고 말했다.
김영수 의원은 “토종 씨앗의 멸종과 감소는 미래 세대의 생존과 직결된다는 인식을 가지고 토종 종자의 멸종과 감소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줄 것”을 주문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에서 직접 관리·운영하는 가칭 '충청남도 토종씨앗 복원센터'를 설립해 사라지는 토종 씨앗을 수집·보존·복원해 종자 사업을 미래 수출 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김 의원은 “민간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토종 씨앗 보존 활동에도 많은 관심을 두고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라며 발언을 마무리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