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의 도시 성장세가 뚜렷하고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당초 처리용량보다 생활폐기물의 배출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자체 소각처리하고 남는 위탁 생활폐기물 처리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세종시 재정에 큰 부담이 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세종특별자치시의회 서금택 의원(조치원읍)은 22일 열린 제58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세종시 위탁 생활폐기물 증가에 따른 처리대책 마련 촉구’라는 주제로 5분 자유발언을 실시했다.
서 의원은 세종시는 "9월말 현재 34만명의 시민이 거주하는 중견도시로 생활폐기물 1일 발생량이 2016년 하루 96톤에서 2019년도에는 약 144톤으로 3년 만에 약 150%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연간 5만 2천 여톤에 달하는 발생량으로 도시성장과 더불어 생활폐기물도 매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세종시는 2009년 연기군 시절에 준공한 전동면 소각시설과 2015년부터 가동중인 폐기물연료화시설에서 생활폐기물을 처리하고 있으나, 두 시설은 설비노후화로 처리효율이 낮으며, 세종시 전체 발생량 중 44%만 자체처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위탁 생활폐기물 처리 물량도 2016년 약 19톤에서 2019년도에는 4.4배 증가한 하루 81톤이 위탁처리 되고 있으며, 위탁처리 비용도 5억 4천만 원에서 62억 원으로 3년 만에 약 열 한배 증가하여 그 증가폭도 매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도시기본계획상 2030년에 인구 80만명을 목표로 하고 있어 이에 따른 시의 생활폐기물 처리 중.장기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면서 친환경적인 신규 폐기물처리시설 설치"를 제안했다.
특히, "지난 5월에 공무국외연수 때 견학했던 ‘오스트리아 비엔나의 슈피텔라우 소각장’을 예로 들면서 친환경 첨단기술 도입으로 환경오염 사전 차단과 에너지 시민 공급 등 지역민들에게 순기능 제공으로 지금은 훈데르바서의 예술작품으로 자리매김 했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폐기물처리시설은 단순히 폐기물을 처리하는 기피시설이 아닌 환경오염 걱정이 없는 시설, 일상에서 문화생활이 가능한 편익시설로 설계하고 지역발전과 시민행복이라는 큰 틀 속에서 상생 발전할 수 있는 시설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함께 “신규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를 조속히 추진하고, 그 시설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모범이 되는 시설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생활폐기물 감축은 이제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현실에 깊은 공감대를 나누고 함께 실천해 나가길"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