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효 대전시장이 대전광역생활권 중심의 행정구역 통폐합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재차 밝혔다.
박 시장은 15일 오전 시청 중회의실에서 간부회의를 주재하고 “행정구역 통폐합은 해당 지역의 주민이 원해야 가능하고 그들의 행복가치를 우선해야 한다”며 “오라는 것과 환영한다는 것에는 분명 차이가 있다. 환영받는 분위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광역시 중 군 단위 기초단체가 없는 곳은 대전이 유일하다. 부산시와 기장군, 대구시와 달성군 등 광역시와 인근 군의 통폐합 사례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검토하면서 대응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
박 시장은 또 “기초자치단체간 통폐합은 해당 지역 주민들의 편익과 행복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전제한 뒤 “실질적으로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는 대전과 충남 금산, 충북 옥천 등과의 통합 형태가 서로에게 이익이 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어제 금산군 재대전향우회장과 전화 통화를 했다. 인근 시·군 향우회가 여론 메이커 역할을 하는 만큼 행정구역통폐합을 전제로 이들과도 협력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대전시와 대전발전연구원이 지난해부터 추진해온 금산·옥천·계룡·연기(금남면) 등과의 통폐합에 따른 기대효과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잠정적인 통폐합 대상 중 대전광역시 금산군이 사회복지혜택, 공공요금 및 수수료 인하 등으로 직·간접 편익이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금산군이 1,037억원, 옥천군과 계룡시가 각각 987억원, 연기군(금남면) 888억원 등의 순이었으며, 순편익 면에서도 금산 636억원, 옥천과 계룡 606억원, 연기(금남) 545억원 등으로 추정됐다.
또 통폐합 후 인근 시·군은 학군조정에 따른 교육수준 향상, 택시·버스요금 단일화에 따른 요금인하 효과, 문화·복지시설 이용 편리성 제공, 영·유아 복지서비스 향상, 상·하수도 사용료 인하, 지가상승에 따른 재산가치 향상, 농산물 직거래 및 판로확보 등에서 도움이 될 것으로 예측됐다.
대전시는 산업용지 부족문제 해소와 대기업 유치가능성 증가, 국회의원 수 증가에 따른 정치적 영향력 증가, 금산인삼 등 도시브랜드 추가 생성 등의 효과가 기대됐다.
박 시장은 “해당지역 군민들은 주민기피·혐오시설이 집중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부분이 클 것”이라며 “이미 설치된 시설을 주민들이 살고 있는 지역으로 이전하는 일이 없을 것이란 확신을 심어주는 일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