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아시안게임 충청권 공동유치 '불발'
2030 아시안게임 충청권 공동유치 '불발'
  • 성희제 기자
  • 승인 2020.04.23 11: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집권여당 추진 의지 불구 정부 승인 못받아 유치의향서 시한내 제출 못해
지난 7일 충청권 4개 시·도 지사의 2030 아시안게임 공동유치 업무협약 체결식 모습.
지난 7일 충청권 4개 시·도 지사의 2030 아시안게임 공동유치 업무협약 체결식 모습.

대전·충청권 4개 광역자치단체가 공동 추진해 온 ‘2030년 하계 아시안게임’ 유치가 사실상 물 건너갔다.

23일 각급 지자체에 따르면 충청권 4개 광역단체는 2030 아시안게임 유치의향서를 제출시한내에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에 내지 못했다.

아시안게임 유치를 위해서는 지난 22일까지 유치의향서를 OCA에 내야 하는데, 정부 승인을 받지 못해 의향서를 제출조차 못한 것.

이에 따라 충청권 4개 지자체는 자신들의 의지와 무관하게 아시안게임 유치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됐다.

아시안게임 유치 무산은 충청권 4개 지자체와 지역 정치권의 정치력을 엿볼 수 있는 한 예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소속 충청권 4개 지자체장과 시·도당, 국회의원 등이 손잡고 추진한 사업이 정부 승인조차 받지 못하며, 지역 정치권의 한계에 대한 우려를 노출했다는 것.

아시안게임 유치는 허태정 대전시장, 이춘희 세종시장, 양승조 충남지사, 이시종 충북지사 등 4개 지자체장의 추진 합의 발표 후, 당-정 협의 등을 통해 사업 추진에 힘을 보태며 성공 추진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었다.

일부 야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충청권 집권여당의 강한 추진 의지 피력으로 사업이 정상궤도에 오를 것이란 전망이 더 우세했던 것.

하지만 지역 여권의 단일대오 형성에 불구하고 아시안게임 유치가 불발되며, 지역에서는 집권여당의 공조체제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섣부른 관측마저 고개를 드는 상황이다.

지역의 한 인사는 “대통령부터 국회, 지자체, 지방의회 등 모든 권력을 민주당이 독점한 상황에서 민주당 광역단체장 전원이 함께 추진한 사업이 정부 승인을 받지 못한 것은 가볍게 볼 수 없는 문제”라며 “인과 등을 꼼꼼하게 따져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